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and Universities: Current State, Issues and Challenges

이용수 0

영문명
호주 초중고, 대학 및 지역사회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신성철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27권 4호, 57~102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호주 한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최근 한국어 교육 과정들의 현황과 발전 과정을 조사, 분석하고 쟁점 사항을 논의하며 앞으로의 과제들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호주에서 한국어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 뿐 아니라 앞으로의 진흥을 위해 필요한 개선점들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언어정책을 고찰하고, 한국어를 제공하는 학교, 과정, 등록생수 및 교사/교수 등에 대한 최근 (2010-2016년) 통계 자료와 정보,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최근 쟁점 사항에 대해 분석하고 논의하며 교과 과정 등 앞으로의 과제들을 논의한다. 최근 자료의 분석과 정보를 통해 등록생수의 상당한 증가 등 고무적인 진전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입한국어 등록생수의 저조 등 발전을 이루지 못했거나 개선되어야 할 영역들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정책입안자와 프로그램 책임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주요 쟁점 사항과 과제들을 요약하여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 from the governmental efforts to introduce Korean at policy levels to recent development in Korean language programs, and explores the current issues and considers challenges ahead. The paper discusses not only how learning and teaching of Korean has been practised in the Australian context, but also the critical conditions needed to further adva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fically the study provides an evidence base pertaining to Korean language study in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in the community, by undertaking the following objectives: (1) review of the relevant policies; (2) presentation of updated data on provision and participation (2010-2016); (3) up-to-date analysis and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specific to the Korean language; and (4) what needs to be done, including curriculum and delivery of programs. It is revealed that there are some encouraging signs of developments such as the significant increase of overall enrolments but at the same time there are a number of areas where further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cluding low enrolments in matriculation courses. Some key issues and challenges are highlighted and further discussed, hoping to help the policy makers and/or program authorities as they work towards practices and programs.

목차

1. Introduction
2. Review of Literature
3. Methods
4. Data Analysis and Presentations
5. Discussion of Issues and Challenges
6.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성철. (2016).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and Universities: Current State, Issues and Challenges. 한국어교육, 27 (4), 57-102

MLA

신성철.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and Universities: Current State, Issues and Challenges." 한국어교육, 27.4(2016): 57-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