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수업의 설계 원리 및 적용 사례 연구

이용수 284

영문명
A Case Study of Korean Language Classes Based on Metaverse: Focusing on Interaction Pattern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심지연 류선숙 김민경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6輯, 331~35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을 실시한 뒤 수업 내에서의 상호작용 양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소재 A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운영된 <메타버스 한국어> 교과목에서는 의사소통 과제를 중심으로 모듈형의 수업을 구성하고 ‘공간 탐색 및 언어 지식의 활성화’, ‘실재감 체험 및 자율적 몰입’, ‘다감각적 상호작용’, ‘상호작용 확장 및 내재화’의 네 절차로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이러한 교과목 운영을 통해 본고에서는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수업이 상호작용의 유형과 방법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소통의 깊이와 대상을 확장시키고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들은 오브젝트 활동에 참여하며 수행 과정 내에서 서로의 수행 양상에 영향을 받으며 비가식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 결과적 측면에서 역시 서로의 게시물에 댓글, ‘좋아요’ 등 반응을 표시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적극적으로 주고 받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어 아바타 간 문자 기반 의사소통 과정에서는 아바타로 인해 정서적 부담감이 경감되어 다소 풍부하고 정확한 언어 의사소통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후속되는 대면 음성 의사소통에서 역시 정확성을 기반으로 한 유의미한 대화 연습을 하게 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상호작용 양상은 기존의 말하기 수업에서 학습자들에게 어려운 점으로 작용했던 측면이 보완될 수 있음이 확인된 것으로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발견된 긍정적 상호작용 양상이라 볼 수 있다. 이처럼 학습자들은 선진적인 매체를 활용해 한국어를 교수·학습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수업에서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경험을 실세계에서의 소통 능력과 학업 능력 향상으로 연결시킨다. 즉, <메타버스 한국어> 수업은 기존의 교실 수업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의 기회와 경험을 확장하는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nteraction patterns during Korean language classes utilizing Metaverse with university-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examine their perception of these interactions. The course, “Metaverse Korean”, was offered for one semester at University A in Seoul, and consisted of module-based classes focusing on communication tasks, which were carried out in four steps: “space exploration and activation of language knowledge”, “realistic experience and autonomous immersion”, “multisensory interaction”, and “expansion and internalization of interaction”. Through this course, the study confirmed that Metaverse-based Korean language classes not only have diverse types and methods of interaction, but also expand the depth and scope of communication and enhance learner's communication abilities and self-efficacy. Specifically, learners participated in object activities and were found to unconsciously influence each other's performance and experience subconscious interaction, while also actively giving and receiving social interaction by responding to each other's posts with comments and likes. During avatar-based text communication, learners experienced less emotional burden and were able to have more accurate and rich language communication, which was then followed by meaningful voice communication based on accuracy. Such interaction patterns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speaking classes and be seen as positive interaction patterns discovered within the Metaverse environment. Learners show interest in using advanced media to learn Korean actively and connect the experience of various interactions in class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and academic abilities in the real world. In conclusion, the “Metaverse Korean” course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classroom learning and has the significance of expanding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for learning.

목차

1. 서론
2.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수업의 설계 원리
3. 메타버스 한국어 수업의 시범 적용 결과
4. 메타버스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지연,류선숙,김민경. (2023).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수업의 설계 원리 및 적용 사례 연구. 어문연구, (), 331-359

MLA

심지연,류선숙,김민경. "메타버스 기반 한국어 수업의 설계 원리 및 적용 사례 연구." 어문연구, (2023): 331-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