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장의미 구조에서 바라본 부사어의 유형

이용수 33

영문명
Types of Adverbs by Sentence Semantic Approach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한주희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6輯, 31~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어에서 부사어는 통사적으로 명사를 수식하거나 필수 부사어로 사용되어 문장의 의미 해석에 필수적이기도 하다. 따라서 부사어를 단순히 문장이나 다른 성분을 수식하는 부가어로 규정짓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부사어는 문장에서 다른 성분들 혹은 문장과의 관계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이다. 부사어가 다른 성분을 수식하는 것은 분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수 부사어를 언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부사어가 문장의미 해석에 일정한 역할을 하고, 그 유형 또한 문장의미 차원에서 설정될 필요성이 있다. 그래서 부사어의 유형이 문장의미 구조에서 어떻게 설정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았다. 문장을 구성하는 단위는 나름의 의미와 기능을 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문장 의미 형성은 문장 전체의 관점에서 파악되어야 하며, 문장을 구성하는 부분과의 관계 속에서 각 성분의 특성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기술했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문장은 명제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발화상황을 고려하여야 그 의미가 파악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문장의미는 객관적 정보와 주관적 인식의 틀로 이뤄지는데 이를 ‘명제와 양상’으로 설정하였다. 문장의미 해석의 차원에서 한국어의 부사어를 양상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기능적 부사어와 어휘적 속성을 지닌 내용적 부사어로 나누었으며 이것은 범언어적인 현상임을 설명하였다. 기능적 부사어는 그 기능과 의미에 따라 양태, 시제, 상 부사어로 구분할 수 있으며, 동사에 결합하는 문법적 형식과 호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사어의 어순은 문두부터 문중까지 ‘양태> 시제> 상’의 순서로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찬가지로 서술어(동사)에 결합하는 문법 요소로서의 ‘양태, 시제, 상’은 기능적 부사어의 역순으로 결합하고 있었다. ‘상>시제> 양태’의 순서로 서술어의 어간에 결합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In Korean, adverbs are syntactically modified nouns or used as essential adverbs, which are also essential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of sentences. Therefore, there is a part where it is difficult to define adverbs as simply adverbs that modify sentences or other components. Adverbs are explained by other components in the sentence or by their relationship to the sentence. This is because it seems clear that adverbs modify other components. Therefore, even if essential adverbs are not mentioned, adverbs play a certain role in interpreting sentence meanings, and their types need to be set in terms of sentence meanings. Therefore, we looked at how the type and word order of adverbs can be set in the sentence semantic structure. The units that make up a sentence have their own meanings and functions and influence each other. It was described that the formation of sentence meaning should be grasp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sent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can be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t that constitutes the sentence. Accordingly, it was pointed out that basically, the sentence has a propositional meaning, and the meaning can be grasped only by considering the utterance situation. The meaning of the sentence consists of the framework of objective information and subjective perception, which was set as ‘proposition' and ‘modality'. In terms of sentence meaning interpretation, Korean adverbs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adverbs belonging to subcategories of aspects and content adverbs with lexical properties, and this was explained as a pan-lingual phenomenon. Functional adverbs can be classified into mode, tense, and upper adverbs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nd meaning, and it was found that they correspond to the grammatical form that binds to the verb.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d order of adverbial words appeared in the order of “modality> tense>aspect” from the head of the sentence to the sentence. Likewise, ‘form, tense, and phase' as grammatical elements that bind to predicate (verb) were combined in reverse order of functional adverbs. It was combined between the words of the predicate in the order of “modality> tense>aspect”

목차

1. 서론
2. 연구사 검토
3. 문장의미 구조
4. 문장의미 구조에서 바라본 부사어의 유형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주희. (2023).문장의미 구조에서 바라본 부사어의 유형. 어문연구, (), 31-55

MLA

한주희. "문장의미 구조에서 바라본 부사어의 유형." 어문연구, (2023): 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