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hatGPT 시대 한문 해석의 지향점 연구

이용수 15

영문명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Chinese Translation in the Era of ChatGPT : Focusing on the Tension between Universality and Diversity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병찬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6輯, 147~17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ChatGPT 시대를 맞이하여 한문 해석의 지향점에 대하여 보편성과 다양성의 논란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보편성과 다양성의 논란은 서구 해석학의 중요한 쟁점이었다. 이를 중심으로 그 관점이 한문 해석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시사점을 검토하고자 한다. 해석학은 결국 텍스트 이해의 지향점에 관한 논란이다. 이 논란의 중심에 있던 두 인물은 바로 가다머와 데리다이다. 경전은 진리 탐구의 영역이며 해석의 보편성을 지향한다. 보편성을 지닌 완벽한 경전 해석의 존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텍스트는 시대와 사회의 분위기인 콘텍스트의 영향 아래에 존재한다. 이러한 텍스트 해석의 가변성을 인지하고 고정성에 도전이 데리다의 해체이다. 그렇지만 시간적인 영원성을 확보한 보편적인 해석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당대의 대중들이 선호하는 보편적인 해석의 존재를 부인할 수 없다. 다만 과거의 사람들은 보편성에 매달렸지만, 현대의 우리는 그것이 지닌 한계를 분명히 알고 우리의 해석도 시간에 갇혀 있음을 안다는 차이가 있다.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부인할 수 없다. 한문학 작품에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작자가 창작 배경이나 동기 혹은 용어를 설명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따라서 고유명사마저 번역하는 우를 범하기 쉽다는 것이다. 작자의 본인이 아니라면 창작 의도에 온전히 접근하기 어렵다. 설사 창작 의도를 오해한 잘못된 해석에 기반한 오역이 반드시 작품성을 해치는 것도 아니다. 폄하의 의도가 있지 않다면 번역자나 해석하는 사람은 작품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노력한다. 자신의 행위가 가치가 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면, 작품에 대한 고정된 해석은 작품의 생명성을 해치는 행위이다. 다만 경계해야 할 것은 공감이 어려운 해석이다. 가다머가 주장한 해석의 보편성은 존재한다. 공감이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이 선호하는 해석이 있지만 문제는 그것이 작가의 의도라는 증거도 확인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작품의 본질을 알기 어렵게 만드는 해체 행위까지 긍정적으로 보기 어렵다. 논리적으로 가능한 해석까지가 다양성의 한계이다. 억지 해석까지 옹호하는 것이 데리다의 해체가 아님은 분명하다. 우리는 해석의 보편성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에 도전해야 한다. 끊임없는 도전을 통하여 다양성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최적의 번역을 찾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다행히 ChatGPT는 질문자가 번역과 해석에 이의를 제기하면 다른 대안을 제시한다. 다만 문제는 좋은 학습자료가 필요하다. ChatGPT가 다양한 해석을 내놓을 수 있는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우리 연구자의 몫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Chinese interpretation in the era of ChatGPT, focusing on the controversy between universality and diversity. The controversy between universality and diversity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Western hermeneutics. We aim to examine how this perspective can be applied to Chinese interpretation and to review its implications. Hermeneutics is ultimately a debate about the orientation of text understanding. The two figures at the center of this controversy were Gadamer and Derrida. The classics are the realm of truth exploration and aim for the universality of interpretation. In this regard, the existence of universal interpretation is practically impossible, and the context of the era and society has a decisive influ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Challenging such texts is Derrida's deconstruction. However, denying the existence of universal interpretation preferred by contemporary audiences just because universal interpretation with temporal eternity is impossible does not mean that previous people were fixated on universality. We, modern people, are aware of its limitations. If past people were trapped in a certain framework, we are no different from them. The only difference is that we are aware of our limitations. Unless it is a special case in Chinese literature, authors rarely explain the background, motivation, or terms of their creation. Therefore, it is easy to make mistakes even in translating proper nouns. However, mistranslation does not necessarily damage the artistic quality of a work unless there is an intention of disparagement.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strive to preserve the artistic quality of the work as much as possible because they hope their work has value. Considering these aspects, a fixed interpretation of a work damages the vitality of the work. However, we must be cautious about interpretations that are difficult to empathize with. Gadamer's argument for the universality of interpretation exists. There are interpretations that people prefer under the name of empathy.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at it is the author's intention. It is also difficult to view the act of deconstructing a work that makes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work positively. The limit of diversity is an interpretation that is logically possible. Supporting forced interpretations is certainly not Derriida's deconstruction. We must challenge the universality of interpre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Through constant challenges, we must strive not to end in diversity, but to find the optimal translation. This is similar to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where everything exists in the process. Fortunately, if the questioner raises objections to the interpretation, ChatGPT offers alternative interpretation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good learning materials are needed. It is the responsibility of our researchers to provide learning materials that allow ChatGPT to offer various interpretations.

목차

1. 서론
2. 경전 해석과 보편성 추구의 한계
3. 한문 ‘用事’와 해석 다양성의 한계
4. 결론-ChatGPT 시대 해석과 번역을 위한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찬. (2023).ChatGPT 시대 한문 해석의 지향점 연구. 어문연구, (), 147-171

MLA

이병찬. "ChatGPT 시대 한문 해석의 지향점 연구." 어문연구, (2023): 147-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