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야학 교재와 조선어 교육에 대한 고찰

이용수 28

영문명
Study of Night School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송미영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6輯, 305~3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일제강점기에 발행된 야학 교재를 대상으로 조선어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야학은 근대 계몽기인 1906년부터 1990년대까지 이루어졌다. 1920년대 노농 단체가 조직되면서 노동자와 농민들을 위한 야학이 열렸고, 신문 연재, 잡지에 수록된 글, 책 등이 야학의 교재로 활용되었다. 그중, 조선교육협회와 조선농민사는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노동자와 농민들을 위한 교육 활동을 펼치게 된다. 일제강점기 야학에서 활용된 조선어 학습 교재에는 『農民讀本』(李晟煥, 1930), 『노동독본』 첫재권·둘재권·셋재권(申明均, 1928, 1930, 1935), 잡지 『農民』에 수록된 「한글 講座」(白世明, 1930), 『大衆讀本』1·2(金一大 編, 1931) 등이 있다. 효율적인 조선어 교육을 위해 첫째, 한글 학습을 위한 단계적 제시, 여러 개의 과로 나누어 순차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한글 자모, 자모 관련 명칭, 구성상의 원리 등을 이해한 다음 긴 글을 학습하도록 하였다. 셋째, 상·중·하 또는 1~3권 등의 구성으로 한글에서 조선의 지리와 역사까지 두루 다루어 농민, 노동자로서 필요한 소양을 갖추도록 하였다. 즉 조선어 교육은 종합서적인 성격을 띤 교재를 학습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Joseon) education for the night school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ight school took place from 1906,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through the 1990s. With the organization of laborers and farmers' organizations in the 1920s, night schools for workers and farmers were held, and newspaper serials, magazine articles, and books were utilized as teaching materials for the night schools. Among them, the Joseon Education Association and the Joseon Farmers’ Association conducted educational activities for workers and peasants from the 1920s to the early 1930s. Some of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texts that were used in schoo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include: Farmers’ Reader (Nongmindokbon)(Lee Sung-hwan, 1930), Laborers’ Reader (Nodongdokbon) Vol. 1, 2 and 3 (Shin Myung-gyun, 1928, 1930, 1935), “Korean Language Course” (Baek Se-myung, 1930), which was included in the magazine Farmers (Nongmin), and Public Reader (Daejungdokbon) Vol. 1 and 2(Kim Il-dae, 1931). For effici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 the course was organized in stages for learning Hangul and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for sequential learning. Second, students should understand Hangeul’s alphabet, related names, and compositional principles before learning long texts. Third, the books were organized into three volumes, covering everything from Hangeul to the Geography and History of Joseon to equip students with the necessary skills as farmers and laborers. In other 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an essential process for students to learn textbooks with a comprehensive nature.

목차

1. 서론
2. 일제강점기 조선교육협회와 조선농민사의 활동
3. 주요 야학 교재로 본 조선어 교육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미영. (2023).일제강점기 야학 교재와 조선어 교육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 305-330

MLA

송미영. "일제강점기 야학 교재와 조선어 교육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2023): 305-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