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외래어 교육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A Study on Selection of Educational Korean Borrowed Words for Foreigner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8권 3호, 195~2520쪽, 전체 23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40,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ost studies on borrowed words in Korean lexis studies are approaching about concept and formation of borrowed words, transcription rules and their problems, and how to refine Korean. However, differently with this, studies on borrowed words for foreigners should be dealt as courses of acquiring basic vocabulary, because most foreigners studying Korean point out that borrowed words are main obstacles to acquiring and studying Korean vocabulary when communicating. Korean learners naturally acquire borrowed words in the same way that they acquire Korean, while foreign learners feel double difficulties in acquiring borrowed words. Therefore, different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are to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object of teaching. When teaching borrowed words to Koreans, main point is that learners should know exactly the origin of borrowed words and use them properly because excessive using them may taint Korean. On the other hand, teaching it to foreigners focuses on an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nd makes foreign learners understand formation and meaning of borrowed words in Korean.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define the concept of borrowed words and determine the range that should be dealt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for effective teaching Korean to foreign learners. Also this study compared frequency of borrowed words in Korean textbooks with items in Cho Namho(2003). Lastly this study analyzed how much foreign learners, foreign students staying in Korea quite a long time and foreign learners in advanced level, recognize borrowed words.
목차
1. 도입
2. 외래어의 개념과 선행 연구
3. 교육용 외래어 목록 선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학과 기초 학문
-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실태에 관한 소고
- 한국어 교육학의 문학 연구 방향
- Types and Patterns of English L1 Students’ Misspellings in Korean
- 한국어 어휘 교육과 학습과 어휘 통계 정보
- L2 음성 습득에 유사성이 미치는 영향
- 연음규칙 적용에 따른 오류 분석
- 텍스트 구조 학습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외래어 교육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 보조사 ‘도’의 기능과 해당 중국어 형태소와의 대조
- 한국어 교육 자료에서의 문법 항목 표시 방법 연구
- 한국어 쓰기에 있어서의 오류일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