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조사 ‘도’의 기능과 해당 중국어 형태소와의 대조

이용수 7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Meaning Functions Between the Auxiliary Particle ‘-to’ and Corresponding Chinese Morpheme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윤영숙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18권 3호, 145~16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Korean auxiliary particle ‘-to’ and corresponding Chinese morpheme in the frame of KFL. Auxiliary particle ‘-to’ indicates ‘similarity’, which is its basic meaning and defines relation between its pre-element and presupposed element in the discourse context. The function of ‘-to’ is not grammatical but semantic. So its use in an utterance can not be decided by syntactic information but by discourse context. The presence of ‘-to’ in an appropriate position makes discourse coherent and logical whereas the wrong use of ‘-to’ renders discourse incoherent and illogical. In order to find out corresponding morpheme that plays the same role in Chinese, the main function of auxiliary particle ‘-to’ was subdivided in five categories according to semantic status of its pre-element:similarity, polarity item, whole affirmation and whole negation, minimum quantifier and enumeration, and corresponding Chinese morphemes are matched to each function. Comparative analyses showed that except certain enumeration case auxiliary ‘-to’ corresponds to Chinese adverb ‘也’ in most cases. In the case of enumeration,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constrain of sentence, adverb ‘又’ can assume functions of ‘-to’.

목차

1. 서론
2. 보조사 ‘-도’의 의미와 기능
3. 연구 범위
4. 보조사 ‘-도’의 용법과 중국어 대응 표현
5. 보조사 ‘-도’와 부사‘也’, 부사‘又’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영숙. (2007).보조사 ‘도’의 기능과 해당 중국어 형태소와의 대조. 한국어교육, 18 (3), 145-165

MLA

윤영숙. "보조사 ‘도’의 기능과 해당 중국어 형태소와의 대조." 한국어교육, 18.3(2007): 145-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