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학과 기초 학문
이용수 9
- 영문명
-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Basic Studi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서상규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8권 3호, 75~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have discussed some kinds of research fields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basic studies have connection and some aspects that basic fields are connected to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we have examined what kinds of things are demanded from the basic studies to develop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we need to revise our viewpoints about the identity of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with the basic studies. The recommendatory point of view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we should clearly distinguis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academic purpose and as a practical application. Secondly,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n integrated work of related basic studies such as Linguistics, Korean Linguistics, Korean Studies and Pedagogics. Furthermore, we need to consider this integrated work as a field that explores the knowledge and methods for the application and as an interpreter among the whole basic studies composing the integrated filed. Third, we should establish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imultaneously we need to expand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Fourth, the basic studies constituting the integrated field should set up their goals to be useful to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do researches to achieve the goal and solve the problems that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Finally, we need to strengthen the informatiz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language and the basic studies centering on the basic academic fields that compose the integrated study.
목차
1. 머리말
2.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위상
3. 한국어 교육학의 위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
4. 통합 학문 분야로서의 요건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학과 기초 학문
-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실태에 관한 소고
- 한국어 교육학의 문학 연구 방향
- Types and Patterns of English L1 Students’ Misspellings in Korean
- 한국어 어휘 교육과 학습과 어휘 통계 정보
- L2 음성 습득에 유사성이 미치는 영향
- 연음규칙 적용에 따른 오류 분석
- 텍스트 구조 학습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외래어 교육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 보조사 ‘도’의 기능과 해당 중국어 형태소와의 대조
- 한국어 교육 자료에서의 문법 항목 표시 방법 연구
- 한국어 쓰기에 있어서의 오류일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