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2 음성 습득에 유사성이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Effect of Similarity on L2 Phone Acquisition: An Experimental Study on Japanese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성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8권 3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nterrogates the hypothesis of Flege (Flege 1995, 1999)’s Speech Learning Model (SLM)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he similarity and the length of learning and Length of Residence (LOR) on Japanese learners’ acquisition of 7 Korean simple vowels. For this purpose, the speech of 16 Japanese speakers for Japanese speech data, and the speech of 16 Korean speakers, 16 beginning Japanese learners of Korean, 16 advance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nd 16 experienced Japanese speakers of Korean for Korean data were utili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imilarity and length of learning and LOR on L2 phone acquisition, the speech production of Korean vowels produced by Koreans, beginning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dvanced Japanese learners of Korean, and experienced Japanese speakers of Korean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conclusion, the hypothesis of SLM seemed to be partially compatible since the similarity played a great role in terms of the sequence of acquisition and learning speed as SLM maintains. Not only the degree of similarity, however, but the types of differences and the markednes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ultimate attainment to predict the difficulty of L2 phone acquisition, while SLM theorized the difficulty was derived primarily from the interlingual similarity.
목차
1. 서론
2. L1(일본어)과 L2(한국어) 모음의 유사성의 정도 분석
3. 한국어 음성 습득 양상 조사를 위한 음성 산출실험
4. 한국어 음성 습득 양상 조사를 위한 음성 청취 실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학과 기초 학문
- 한국어 학습자의 관형격조사 ‘의’의 사용 실태에 관한 소고
- 한국어 교육학의 문학 연구 방향
- Types and Patterns of English L1 Students’ Misspellings in Korean
- 한국어 어휘 교육과 학습과 어휘 통계 정보
- L2 음성 습득에 유사성이 미치는 영향
- 연음규칙 적용에 따른 오류 분석
- 텍스트 구조 학습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국어 외래어 교육 목록 선정에 관한 연구
- 보조사 ‘도’의 기능과 해당 중국어 형태소와의 대조
- 한국어 교육 자료에서의 문법 항목 표시 방법 연구
- 한국어 쓰기에 있어서의 오류일지의 효과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