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식태도 연구
이용수 160
- 영문명
- A Study on Jeju Residents' Perception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상훈(Lee, Sang Hun) 남재성(Nam, Jae Sung)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2호, 261~27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자치경찰제의 선도적 자치단체라 할 수 있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치경찰제 운영성과와 한계점들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일원적 자치경찰제를 개선하여 실질적인 이원화 자치경찰제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은 최상의 자치경찰제 수립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인식태도를 조사하여 그동안 시행된 제주형 자치경찰제를 평가하고 도민의 안전과 치안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구현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제주자치경찰제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지도는 타 지역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자치경찰제가 제주특별자치도의 지역사회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정착된 것으로 평가되며, 현행 제주자치경찰제의 기대효과와 관련해서도 지방자치단체의 교통행정과의 교통경찰사무 연계협력이 가장 높게 나타나 교통분야 활동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제주자치경찰단의 어린이 통학로 안전관리체계 구축 사업이 어린이 교통안전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주자치경찰의 중점 추진 사무분야와 중요도에 있어서는 교통사고 발생요인의 예방활동 증대를 가장 중요한 사무분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므로 그동안 가시적 성과를 보인 교통 분야의 활동을 더욱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제주자치경찰제에 대한 도민의 높은 인식태도와 참여의지에 비해 정책적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경로에 대한 인지여부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고 있어서 제주도민의 인식도 제고와 참여확대를 위한 홍보 활성화와 제도적 장치의 확대가 시급히 요구된다. 또한, 제주도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제주자치경찰제 발전을 위한 기본원칙으로는 정치적 중립성 보장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향후 제주자치경찰제는 중앙정부와의 적절한 견제와 균형속에 제주특별자치도민의 요구와 치안수요에 부응하는 독자적인 제주형 자치경찰제의 모델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nalyzing the operational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 leading autonomous police system in South Korea, and drawing up measures to implement a practical autonomous police system is a very important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best autonomous police system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a survey of Jeju residents' awareness of the Jeju-type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Jeju-type autonomous police system that has been implemented so far and to find ways to implement the Jeju-typ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improve the safety and security services of Jeju-typ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eju residents' awareness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regional studies, so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been relatively stable in local communities. In particular, the Jeju Municipal Police Agency's project to establish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s commuting routes contributed to children's traffic safety. As it is analyzed that the Jeju Autonomous Police's focus and importance a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office area. On the other hand, the institutional device and path to express policy opinions are the lowest compared to the high awareness and willingness of the residents of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so it is urgently necessary to promote public relations and expand institutional devices to raise awareness and participate. In addition, ensuring political neutrality is the highest basic princip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recognized by Jeju residents, so in the futur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should establish an independent Jeju-type autonomous police system model to meet the needs and security need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분석결과
Ⅳ. 분석결과의 논의 및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동네 안전(Neighborhood Safety)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식태도 연구
- 서비스업종에서의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학교 내 교육복지전문가 안전 위협 경험에 대한 조직적 차원의 대처 연구
- 범죄 피해 요인의 연령집단별 차이
-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실내수영장 안전규정과 안전성과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위험 및 안전실천행동의 다중 병렬 매개효과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판례 분석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고위험범죄자에 대한 사회내 관리제도 개선방안
- Covid-19에 의한 노인요양원 코호트 격리의 성찰과 제언
-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반려동물을 위한 IoT 기반 이동식 캐리어 디자인과 위치추적장치 개발
-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COVID 19) 환자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재난인식과 재난위험성 인식이 재난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안전점검단-현장 안전관리자의 교환관계(LMX)가 안전풍토를 매개로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