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8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and Perceived Stress on Depression of the Community Residents in With-COVID Era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조영신(Cho, Young Shin) 장경오(Chang, Koung Oh)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2호, 245~25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G시의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염려와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G시의 지역사회 주민 192명이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022년 8월 7일부터 2022년 9월 8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WIN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염려와 어려움의 평균점수는 45.03±14.74점, 지각된 스트레스의 평균점수는 20.31±4.89점, 우울의 평균점수는 15.35±9.17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은 성별(t=5.23, p=.02), 나이(F=2.52, p=.04) 건강상태(F=8.74,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나이(F=2.84, p=.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은 건강상태(F=7.4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건강상태(r=-.269,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코로나19로 인한 염려와 어려움(r=.428, p<.001)과 지각된 스트레스(r=.27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G시 지역사회 주민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β=-.214, p=.025), 코로나19에 대한 염려 및 어려움(β=.340, p<.001)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β=.142, p=.038)이었으며, 설명력은 20.9%로 나타났다(F=13.607, p<.001). 그러므로 스트레스와 우울 등의 이러한 부정적인 정신건강 문제를 완화하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지역사회 주민에게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지역사회 주민의 연령대별, 교육 수준별 그리고 직업 유형을 고려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perceived stress on depression of the community residents in the With-COVID era. The participants comprised 198 community residents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7 to September 8, 2022.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in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The mean score of the was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45.03±14.740, perceived stress 20.31±4.89 and depression 15.35±9.17. The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gender(t=5.23, p=.02), age(F=2.52, p=.04), and health status(F=8.74, p<.00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erceived str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2.84, p=.03). And depres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tatus(F=7.43, p<.001). Depress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tate of health(r=-.269, p<.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r=.428, p=.041) and perceived stress(r=.275, p<.001).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residents in the G-city community were state of health(β=-.214, p=.025),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β=.340, p<.001) and perceived stress(β=.142, p<.001). And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an explanatory power of 20.9%(F=13.607, p<.001).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suitable for community residents who can alleviate these negative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and prevent and manage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above all else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hat can be of practical help by considering the age group, education level, and job type of community res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동네 안전(Neighborhood Safety)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식태도 연구
- 서비스업종에서의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학교 내 교육복지전문가 안전 위협 경험에 대한 조직적 차원의 대처 연구
- 범죄 피해 요인의 연령집단별 차이
-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실내수영장 안전규정과 안전성과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위험 및 안전실천행동의 다중 병렬 매개효과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판례 분석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고위험범죄자에 대한 사회내 관리제도 개선방안
- Covid-19에 의한 노인요양원 코호트 격리의 성찰과 제언
-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반려동물을 위한 IoT 기반 이동식 캐리어 디자인과 위치추적장치 개발
-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COVID 19) 환자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재난인식과 재난위험성 인식이 재난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안전점검단-현장 안전관리자의 교환관계(LMX)가 안전풍토를 매개로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