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1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and Perceived Stress on Depression of the Community Residents in With-COVID Era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조영신(Cho, Young Shin) 장경오(Chang, Koung Oh)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2호, 245~25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G시의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염려와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 및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G시의 지역사회 주민 192명이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022년 8월 7일부터 2022년 9월 8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WIN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로 인한 염려와 어려움의 평균점수는 45.03±14.74점, 지각된 스트레스의 평균점수는 20.31±4.89점, 우울의 평균점수는 15.35±9.17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은 성별(t=5.23, p=.02), 나이(F=2.52, p=.04) 건강상태(F=8.74,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나이(F=2.84, p=.0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은 건강상태(F=7.4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은 건강상태(r=-.269,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코로나19로 인한 염려와 어려움(r=.428, p<.001)과 지각된 스트레스(r=.27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G시 지역사회 주민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β=-.214, p=.025), 코로나19에 대한 염려 및 어려움(β=.340, p<.001) 그리고 지각된 스트레스(β=.142, p=.038)이었으며, 설명력은 20.9%로 나타났다(F=13.607, p<.001). 그러므로 스트레스와 우울 등의 이러한 부정적인 정신건강 문제를 완화하고,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지역사회 주민에게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지역사회 주민의 연령대별, 교육 수준별 그리고 직업 유형을 고려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perceived stress on depression of the community residents in the With-COVID era. The participants comprised 198 community residents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7 to September 8, 2022.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 in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The mean score of the was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45.03±14.740, perceived stress 20.31±4.89 and depression 15.35±9.17. The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gender(t=5.23, p=.02), age(F=2.52, p=.04), and health status(F=8.74, p<.001).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erceived str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F=2.84, p=.03). And depress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status(F=7.43, p<.001). Depress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tate of health(r=-.269, p<.001)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r=.428, p=.041) and perceived stress(r=.275, p<.001).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residents in the G-city community were state of health(β=-.214, p=.025), anxieties and difficulties caused by COVID-19(β=.340, p<.001) and perceived stress(β=.142, p<.001). And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an explanatory power of 20.9%(F=13.607, p<.001).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suitable for community residents who can alleviate these negative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and prevent and manage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above all else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hat can be of practical help by considering the age group, education level, and job type of community res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신(Cho, Young Shin),장경오(Chang, Koung Oh). (2023).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 245-259

MLA

조영신(Cho, Young Shin),장경오(Chang, Koung Oh).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안전문화연구, (2023): 245-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