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31
- 영문명
- The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e 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효경(Kim, Hyo Kyoung) 양진주(Yang, Jin Ju)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2호, 45~5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지역의 2개 간호대학에서 4학년 1학기까지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 진로정체감 정도를 확인하고 관련성을 파악하여,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진로정체성을 형성하는 간호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6월 15일부터 2022년 7월 10일까지 G시 소재의 2개 대학교 간호대학 4학년 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 진로정체감의 차이는 t-test, ANOVA, 사후검증은 Scheffé로 분석하였으며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진로정체감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의 평균점수는 4점 만점에 각각 2.52점, 3.19점, 임상수행능력과 임상실습만족도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각각 4.0점과 3.81점을 나타냈다.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β=.34, p<.001), 간호학 선택 동기(β=.27, p<.001), 전공만족도(β=.22, p<.001), 임상실습만족도(β=.21, p<.001)순으로 나타냈고, 진로정체감에 대해 5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확립하기 위해서 간호대학 입학 후 학과에 적응하기 위한 학년별 전공 적응프로그램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전공 및 임상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론 및 실습교육 연계 간호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아울러 각 대학에서는 고등학생이 간호학 전공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성을 고려하여 간호학과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진로체험프로그램 등을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clinical competence, career identity,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areer identity for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until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grade, and to use it as basic data to develop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at form the right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From June 15 to July 10, 2022, an online survey of 191 fourth-year nursing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in G City was conducted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verage of career identity and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on a four-point scale were 2.52 points and 3.19 points, respectively, and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a five-point scale were 4.0 and 3.81 points, respectivel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career identity are professional self-concept (β=.34, p<.001), selection motives (β=.27, p<.001), major satisfaction (β=.22, p<.001),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β=.21, p<.001), and these variables showed 56% explanatory power for career ident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grade-specific major adaptation programs and theory and practice education-link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nursing professional self-concept, major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re needed to establish a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each university needs to strengthen career experience programs so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choose a nursing department in consideration of their correct understanding and aptitude for nursing maj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동네 안전(Neighborhood Safety)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식태도 연구
- 서비스업종에서의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학교 내 교육복지전문가 안전 위협 경험에 대한 조직적 차원의 대처 연구
- 범죄 피해 요인의 연령집단별 차이
-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실내수영장 안전규정과 안전성과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위험 및 안전실천행동의 다중 병렬 매개효과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판례 분석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고위험범죄자에 대한 사회내 관리제도 개선방안
- Covid-19에 의한 노인요양원 코호트 격리의 성찰과 제언
-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반려동물을 위한 IoT 기반 이동식 캐리어 디자인과 위치추적장치 개발
-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COVID 19) 환자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재난인식과 재난위험성 인식이 재난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안전점검단-현장 안전관리자의 교환관계(LMX)가 안전풍토를 매개로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