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183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ive Operation of EAP Counseling: Focusing on longitudinal case analysi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김수림(Kim, Su Lim)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22호, 17~4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에는 EAP 상담에 관심을 갖고 조직 및 임직원의 변화하는 요구에 맞추어 상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조직의 문화와 맥락은 다양하여 그에 적합한 운영방식으로 EAP상담을 적용하기란 쉽지 않다. 기업의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EAP상담 운영에 대한 반성적 평가와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종단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EAP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방안 연구는 장애요인, 개선사항과 더불어 무엇보다 EAP상담을 운영한 후, 개선사항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도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특히 개선사항에 대한 제언에서 나아가 개선된 사항에 대한 반성적이고 탐색적인 연구로써 기관의 변화에 대한 측면에서도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그 의미를 찾기 위해 종단적 관점으로 추적하는 것은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매우 가치 있는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사항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종단적 관점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연구는 현장의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종단적 관점의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EAP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과 EAP상담사를 대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정보 및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3개의 주 연구문제와 총 7개의 하위문제로 구분된다. 연구문제 1. 2019년~2022년 동안의 S도시공사 EAP상담의 연도별 연구결과는 어떠한가에 대한 하위문제 1) 4년간 기업의 조직문화에 따른 고충의 특성은 무엇인가? 2) EAP 상담 운영과정의 방해요인은 무엇인가이며, 연구문제 2. 4년 동안의 연구결과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에 대한 하위문제로 1) 방해요인은 개선이 되었는가?, 2) 개선된 요인은 무엇이었는가? 3) 이러한 결과들은 연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결과를 보였는가? 이며, 연구문제3. 현장에 적용 가능한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하위문제 1) S도시공사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일반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종합적이고 총체적 결과의 도출을 필요로 한다. 이에 우선적으로 하위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주 연구문제에 대한 종합적 · 총체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설계하였다. 연구 방법론에 있어서는 현상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사례 연구방법 및 종단적 관점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 4년간 동일한 심리검사 및 프로그램을 운영한 S도시공사의 EAP 상담사례는 종단적인 관점에서 심층적인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의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에 있어서는 2019년~2022년 S도시공사의 자체적인 선별방법에 의해 선정된 근로자들로 구성 되었으며, 본 연구의 참여에 대한 부분은 S도시공사와 근로자의 자발적인 동의를 얻어 진행하였다. EAP상담 참여인원 및 기간은 2019년 5월~6월 20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8회기씩 총 160회기, 2020년 4월~7월 10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8회기씩 총 80회기, 2021년 4월~7월 17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4회기씩 총 68회기와 12월 1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총 2회기, 2022년 7월~11월 17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4회기씩 총 68회기, 2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2회기씩 총 4회기, 2명과 추가상담 1명을 대상으로 1회기 60분 각 6회기씩 총 18회기, 전체 69명을 대상으로 총 398회기의 상담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2019년~2022년 각 연도별로 전사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에 있어서는 1차 연도별로 반복적 비교분석을 하고, 2차로 1차에 분석된 4개의 자료를 종합하여 반복적 비교분석과 교차분석으로 체계화하였으며 3차 종단적 관점의 고찰을 통해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5개 영역의 36개의 핵심개념 1) 근로자의 고충, 2)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 3) 종합적 개선사항, 4) EAP상담 경험, 5) EAP상담 영역이 도출되었고 이를 토대로 첫째, S도시공사 근로자가 갖는 고충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4년 동안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이 개선되었는가? 셋째, 개선된 사항이 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는가? 넷째, S도시공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4개의 총체적인 결과가 분석되었다. 이하 결과에 대해 기술함에 있어서는 제시된 결과의 내용을 전부 설명하기보다는 ‘개선’에 중점을 두고 본 연구의 주제와 연구목적을 가장 잘 표현해낼 수 있는 특정내용에 대해서만 서술하였으며, 연구문제의 순서에 따라 기술하였다. 연구문제 1과 하위문제의 결과는 고충의 응답빈도가 높아도 그것이 주요 상담으로 진행되지는 않았으며, 이들의 고충은 감정노동자와 유사했다. S도시공사가 갖는 고충의 특성으로는 수평적 조직체계, 인사이동, 사회적 대인관계 단절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와 하위문제의 결과는 EAP상담 진행 중 방해요인 영역의 ‘타이트한 근무시간대의 상담에 대한 부담감’, ‘상담 장소에 대한 불편함’, ‘상담내용이 보고되는 것에 대한 불안함’, ‘상담서비스 안내 및 한계로 인한 아쉬움’이었고, 개선된 사항에 있어 EAP상담이 운영되는 4년 동안 부서별 관리담당자 배정, 상담공간 협조, 유연한 상담회기, 일부 부서에 대한 운동시설 설치 및 휴게실 침대 구비 등 EAP상담사와 조직의 협력으로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연구문제 3과 하위문제의 결과는 S도시공사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위해서 근로자 모두를 대상으로 한 EAP상담 지원, 개인상담과 연계된 집단상담 운영, EAP상담 홍보,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 회기 제공 등 충분한 서비스 지원이 필요하며, 전일제 EAP상담사가 배치되어야 하고, 조직의 협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되는 바를 논의하고 현장에 적용 가능한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 현장에서 이루어진 EAP상담의 종단적 관점 및 개선사항에 주목한 실사례 분석이라는 점에서 희소성을 갖는다. 또한, 조직문화에 적합한 EAP상담을 실제 적용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일반화할 수 있는 지식을 얻고자 분석하고 통찰하였다는데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more and more companies are interested in EAP counseling and are operating counsel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needs of organizations and executives and employees. However, the culture and context of the organization are divers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EAP counseling in an appropriate operating method. In order to provide professional counseling servi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reflectiv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EAP counseling operation are required, and longitudinal research is needed for this. In addition, research on operational measures to revitalize EAP counseling should be studied in-depth analysis of improvements after operating EAP counseling, as well as obstacles and improvements. In particular, as a reflective and exploratory study on improved matters, wha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institutional changes? Tracking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to find its meaning is a very valuable important task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EAP counseling.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these improvements as well as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on the field, and through this, it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inform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plans for companies and EAP counselors who want to introduce EAP.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hree main research problems and a total of seven sub-problems. Stationery Question 1. What are the annual research results of S Development Corporation's EAP consultation from 2019 to 2022? Sub-Question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grievanc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company for 4 years, and 2) What are the obstacles to the EAP counseling operation process? And, Stationery Question 2. What changes do the research results show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sub-question for is 1) Did the obstruction factors improve? 2) What were the improved factors? 3) What results did these results show over the course of the year? And,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EAP counseling applicable to the field? The sub-question for is 1)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of S Development Corporation? 2) What is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that can be generalized? The research problem of this study requires the derivation of comprehensive and total results. First of all, it is possible to derive comprehensive and overall results for the main research problem by solving the sub-problem.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se research methods and longitudinal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EAP counseling case of S Development Corporation, which operated the same psychological test and program for four years from 2019 to 2022, was selected as a research case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workers selected by the S Development Corporation's own screening method from 2019 to 2022, and the participa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voluntary consent of the S Development Corporation and the workers. The number and period of EAP counseling participants are 160 sessions, 8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for 20 people from May to June 2019, From April to July 2020, a total of 80 sessions were conducted for 10 people, 8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A total of 68 sessions for 17 people from April to July 2021, 4 sessions for 60 minutes each, and a total of 2 sessions for 1 person in December, From July to November 2022, 17 people will have a total of 68 sessions, 4 sessions each for 60 minutes, and 2 sessions each for 2 people will have a total of 4 sessions, A total of 1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two people and one additional consultation for 60 minutes each, and a total of 398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69 peopl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림(Kim, Su Lim). (2023).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안전문화연구, (), 17-44

MLA

김수림(Kim, Su Lim).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안전문화연구, (2023): 1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