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22
- 영문명
- A Study on Effects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on Suicidal Ideation: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김윤찬(Kim, Yun Chan)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2호, 161~17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많은 근로자들이 경기침체 및 코로나19 등으로 인하여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직장에서 느끼는 스트레스는 우울증상 및 자살과 연관되어 있어 이와 같은 정신질환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른 직종의 근로자보다 더 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일개 도 단위 소재 사회복지시설을 임의선정하여 관리자의 동의하에 근로자 323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SPSS 27.0 Kor 통계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매개효과(Model 4형), 조절효과(Model 1형), 조절된 매개효과(Model 14형)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일개 도 단위 소재 사회복지시설을 임의선정하여 관리자의 동의하에 근로자 323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BM SPSS 27.0 Kor 통계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1을 사용하여 매개효과(Model 4형), 조절 효과(Model 1형), 조절된 매개효과(Model 14형)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0.524), 사회적지지(-0.367), 자살생각(+0.232)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살생각사이의 관계는 우울(+0.256)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자들의 우울과 자살생각간에 사회적지지(-0.069)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0.069)에 의해 조절되어 사회적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완충효과로 사회적지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사회적지지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완충효과의 일관된 연구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oday, many workers are exposed to physical and mental stress due to various poor working conditions in modern society, so, the mental health of workers is in a serious condition and workers’ stress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e. Hence, it is important to prevent mental stress and alleviate mental ill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control of social support or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suicidal ide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ho are expected to have more stress than workers in other job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randomly sampled 323 workers from the workplaces located in one province, and the data is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IBM SPSS 27.0 Kor and SPSS Process Macro process type 4. Type 1. Type 14, bootstrapping is used for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ers'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workers' job stress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suicidal ideation through depression as meditation. Third, by controlling social support the depression of workers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alleviated suicidal ideation. Fourth, the social support had a controlled mediating effect becaus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n suicidial ideation by depression depends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In this study, the buffer effect of social support is confirmed, but in the previous studies on social support did not show consistent results of buffer effect.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s a buffer effect of job stress and depression. So,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uture because the role of social support, the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workers, helps prevent and alleviate problems of mental health of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or other job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동네 안전(Neighborhood Safety)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식태도 연구
- 서비스업종에서의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학교 내 교육복지전문가 안전 위협 경험에 대한 조직적 차원의 대처 연구
- 범죄 피해 요인의 연령집단별 차이
-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실내수영장 안전규정과 안전성과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위험 및 안전실천행동의 다중 병렬 매개효과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판례 분석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고위험범죄자에 대한 사회내 관리제도 개선방안
- Covid-19에 의한 노인요양원 코호트 격리의 성찰과 제언
-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반려동물을 위한 IoT 기반 이동식 캐리어 디자인과 위치추적장치 개발
-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COVID 19) 환자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재난인식과 재난위험성 인식이 재난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안전점검단-현장 안전관리자의 교환관계(LMX)가 안전풍토를 매개로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