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의 동네 안전(Neighborhood Safety)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이용수 159
- 영문명
- A photo-voice study on the children’s experiences of neighborhood safety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홍현미라(Hong, Hyun Mee Ra)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22호, 207~2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동네 안전 경험에 관한 총체적 이해를 통해 아동의 동네 안전에 대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즉, 아동의 관점에서 연구 참여 아동의 동네 안전이라는 실존적 경험에서 발견한 아동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필요한 아동 동네 안전 지원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포토보이스 방법과 그룹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에 재학하는 학생 6명이다.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는 저소득층 지역의 동네에서 3명, 중산층 지역의 동네에서 2명, 신도시 지역의 동네에서 1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네 개의 주제와 스물다섯 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토포-필리아의 발견, 익숙한 생활 장소’이다. 아동은 오랜 시간 익숙하게 생활한 곳에서 안전함을 느꼈다. 두 번째 주제는 ‘사회적으로 마련된 동네의 안전시설과 안전장치’의 존재였다. 아동은 동네의 안전시설 및 장치의 존재 여부에 따라 안전하다고 인식하였다. 세 번째 주제는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웃의 존재’였다. 아동은 이웃의 존재 여부에서 동네 안전을 경험하였다. 마지막 주제는 ‘자기 보호(self-preservation)를 강구함’ 이었다. 아동은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스스로를 보호한 경험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첫 번째 주제(‘토포-필리아의 발견, 익숙한 생활 장소’)와 세 번째 주제(‘보호해 줄 수 있는 이웃의 존재’), 그리고 마지막 주제(‘자기 보호를 강구함’)는 기존 연구에서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발견으로 아동의 동네 안전 정책 및 실천, 그리고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동네 안전 연구의 제기와 토포-필리아적 요소를 반영한 실천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한다. 또한 아동 안전 정책설계 시 이웃 관계망 활용과 아동 안전 생활환경 반경의 확대, 그리고 안전장치 설치의 확대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동네 안전 연구의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실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설계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holistic-understanding on the experiences of children of neighborhood safety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and design social policy related to their safety. In children’s perspective, this paper may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alternative on safe support for children through analyzing their existential experiences. Using photo-voice method, this paper is based on group interview method with six individuals who file ages between 4th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y have lived in Seoul City and Kyung-gi District. Fo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research participants come from low-income, middle class and new urban neighborhood of community. As a result, four topics and 25 sub-topics are as follows. First topic is ‘discovering topos-philia, familiar living places’. Children have felt safety at familiar places. Second thing is ‘socially arranged safety devices and facilities’. Children have perceived socially arranged safety devices and facilities in their neighborhood as a safety area. Third topic is ‘being neighbors to protect’. Children had safety experiences when they were with neighbors. Last thing is ‘seeking self-preservation’. Children always have tried to protect self according to one’s own standards. The first thing(‘discovering topos-philia, familiar living places’) and third thing(‘being neighbors to protect’) and last thing(‘seeking self-preservation’) among above topics are new findings. Three findings give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to design social policy and program on neighborhood safety for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some practical suggestions, research on neighborhood safety for children, developing safety program based on topos-philia, using those who has social networks, extending radius of their life and safety devices within their neighbors, are provided for neighborhood safety for children. In this context, this paper would be established to research, program and social policy for neighborhood safety for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론
Ⅳ. 아동의 동네안전 경험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동네 안전(Neighborhood Safety) 경험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 제주형 자치경찰제에 대한 제주도민의 인식태도 연구
- 서비스업종에서의 안전리더십이 안전문화,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학교 내 교육복지전문가 안전 위협 경험에 대한 조직적 차원의 대처 연구
- 범죄 피해 요인의 연령집단별 차이
- 사회복지시설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실내수영장 안전규정과 안전성과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위험 및 안전실천행동의 다중 병렬 매개효과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판례 분석 연구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고위험범죄자에 대한 사회내 관리제도 개선방안
- Covid-19에 의한 노인요양원 코호트 격리의 성찰과 제언
-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코로나19로 인한 염려 및 어려움,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반려동물을 위한 IoT 기반 이동식 캐리어 디자인과 위치추적장치 개발
- 대학생의 성인지 감수성, 성 태도,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EAP상담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질적연구
- 간호대학생의 신종감염병(COVID 19) 환자의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의 재난인식과 재난위험성 인식이 재난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안전점검단-현장 안전관리자의 교환관계(LMX)가 안전풍토를 매개로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