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오규원 초기 시의 시간 표현에 대한 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ime in the Early Poems of Oh, Gyu-won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문혜원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33집, 349~37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규원의 초기 시에서 시간을 나타내는 표지들은 어휘적인 것과 문법적인 것으로 나누어진다. 어휘적인 시간 표지들은 ‘오후, 밤’처럼 일상적인 단어로써 시간적 배경을 지시하거나 시적 맥락에서 상징성이 부여되기도 한다. 시계 시간을 강조함으로써 주체와 분리된 비인간적인 환경을 표현할 때도 있다. ‘그때’, ‘그 후’ 등의 시간 지시사들은 해당 사건이 과거에 있고 주체가 그것과 거리를 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새벽 두시’와 같은 특정한 시간 표지가 동일한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조건이 되는 경우도 있다. 문법적 표지인 시제와 상의 배합을 통해 다양한 시간 양상을 표현하는 시들도 있다. 과거와 현재가 섞여 있는 시에서 주체가 과거의 상황이나 사건의 연장선 상에 있는 경우, 시에서 그것은 ‘~ㄴ/는~’라는 현재형과 구별되는 ‘~고 있~’이라는 진행상으로 서술된다. 이는 사건이 과거로부터 지속되고 있고 주체가 그것을 인지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시간 표지이다. 이 시들은 불안과 공포, 뒤틀림 등으로 표현되는데, 과거의 경험이 환상과 결합되면서 실제적인 맥락을 지우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유년의 경험과 그에 관련된 트라우마를 극복하려는 장치이기도 하다. 이와 달리 과거와 현재가 결합되면서도 주체가 과거와 거리를 두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때 과거의 일들은 고정된 장면으로 기억되지만 그 상태에서 여전히 시간이 흐르고 있는 것으로 표현된다. 이때 사용되는 ‘~고 있었~’은 기억의 생생함을 살려내면서도 그것이 과거에 속한 것임을 표시하는 시간 표지이다. 과거는 일상적인 시간의 흐름에서 벗어난 고정된 장면으로 남아서 영원한 현재로서 무시간성의 영역에 놓인다. 이에 비해 현재가 중심이 되고 과거의 경험이 잠시 개입되는 형태의 시들에서는 상보다 시제에 의거한 표현이 두드러진다. 주체는 과거의 기억에서 현재로 돌아오고, 일상의 시간 속에 자리하고 있다. 이것은 오규원의 시가 과거 경험에서 벗어나 현실에서의 삶에 근거할 것임을 예고하는 것으로서, 일상적인 시계 시간을 바탕으로 하는 중기 시의 특징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영문 초록

In Oh Gyu-won’s early poems, signs expressing time are divided into lexical and grammatical. Vocabulary time signs are words such as ‘afternoon, night’, indicating the temporal background or being given symbolic meaning in the poetic context. Sometimes, by emphasizing clock time, an inhumane environment separated from the subject is expressed. Time markers such as “then” and “after” show that the event is in the past and that the subject is distancing himself from it. In addition, a specific time marker such as ‘two o’clock in the morning’ may be a condition that induces the same reaction. There are also poems that express various aspects of tim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ense and aspect, which are grammatical markers. If the subject is an extension of the past situation or event in a poem mixed with the past and the present, it is described in the poem in the progress of ‘~ ~’, which is distinct from the present form of ‘~ㄴ/는~’. This is a time marker indicating that the event continues from the past and that the subject is aware of it. These poems are expressed as anxiety, fear, and distortion, and are characterized by erasing the practical context as past experiences are combined with fantasy. It is also a device to overcome childhood experiences and related trauma. On the other hand, while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combined, there are cases where the subject is distant from the past. At this time, things in the past are remembered as fixed scenes, but time is still passing in that state. ‘~ 있었~’ used at this time is a time marker that shows that it belongs to the past while reviving the vividness of the memory. The past remains a fixed scene that deviates from the usual flow of time and is placed in the realm of timelessness as an eternal present. In contrast, in poems in which the present is the center and past experiences are briefly involved, expressions based on tense are more prominent than aspect. The subject returns from the memory of the past to the present and is located in daily time. This suggests that Oh Gyu-won’s poetry will be based on life in reality, away from past experience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어휘적인 표지를 사용한 시간 양상
3. 시제와 상으로 표현되는 시간 양상
4.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혜원. (2023).오규원 초기 시의 시간 표현에 대한 연구. 구보학보, (), 349-378

MLA

문혜원. "오규원 초기 시의 시간 표현에 대한 연구." 구보학보, (2023): 349-3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