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지능기술 학습도구와 PBL중심 교양영어 교과목 개발 및 적용
이용수 163
- 영문명
- PBL Using AI Technology-based Learning Tools in a College English Clas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경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2호, 169~18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양영어를 포함한 영어교육은 기존의 기능적이고 공학적인 언어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학습자중심학습모형으로 학습자 주도 탐구과정이 핵심인 PBL(프로젝트기반학습/문제중심학습) 관련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내용중심 언어교수법인 PBL중심 교양영어 학습활동에서 학습자의 탐구와 지식구성(영어와 주제관련 내용) 측면 도움을 주는 목적으로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네이버 파파고, 구글 번역기, 문법검수기)를 활용한 PBL중심 교양영어 교과목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6주 과정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를 활용한 PBL중심 교육과정은 교양선택 영어교과목에 도입하였다. 연구에는 해당 교과목(AI를 활용한 기초영어) 수강생 중 총 20명의 학습자가 참여하여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를 활용한 PBL중심 교양영어 학습경험에 관한 설문조사(19세트)와 조별보고서(4세트)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인지적, 정의적, 언어적, 만족도 영역, 지식구성, 성찰적 사고력 측면에서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인공지능 기술기반 학습도구의 기술적 한계와 학습자의 해당 학습도구에 대한 의존성은 부정적인 학습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인 제안으로 마무리하였다. (1) 기술적 한계로 문법검수도구(Grammarly)가 제공한 불충분한 피드백을 이해하는 별도의 수업이 필요하다. (2) 인공지능기술기반 학습도구의 의존성을 낮추기 위해 영어 말하기와 영어 쓰기 관련 별도의 교실 내 수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BL framework using AI technology-based learning tools, namely, Naver Papago, Google Translate, and Grammarly. The six-week framework was embedded into a General English course at a university, and a total of 2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collecting 19 students’ questionnaires and 4 sets of group journals in which 20 students participated in four groups, the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udents’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he General English cour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ents had positive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in terms of cognitive factors, affective factors, satisfaction, linguistic factors, knowledge construction, and reflective practice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had negative learning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 inadequate quality of AI technology-based tools and the rather over-reliance on the tools. The study concludes with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the inclusion of a student-initiated grammar session involving feedback provided by Grammarly, and English language practices involving speaking and writing, both of which should serve to lower the over-reliance of the technology-based tools.
목차
1. 서론
2. 문헌 연구
3. 연구 방법
4. 인공지능기술 학습도구와 PBL중심 교양영어 설계
5. 인공지능기술 학습도구와 PBL중심 교양영어 학습경험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문교양교육 콘텐츠로서의 셰익스피어
- 데이터 리터러시로서의 정량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
- 대학교양수업에서 신입생의 협력적 학습경험과 대학몰입의 관계에서 선후배 멘토링의 매개효과
- 혁신(사업)을 위한 역량교육이냐, 역량교육을 위한 혁신이냐?
- 대학 교양 수업에서의 효과적인 소집단활동 운영 방안
- 온라인 교양 영어 수업이 대학생들의 타 문화 관심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 현대시의 은유적 형식을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수업 모듈
- 인공지능기술 학습도구와 PBL중심 교양영어 교과목 개발 및 적용
- 디지털·AI 시대 문식성 교육이 가지는 의미
-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
-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 전후 교양교육 연구 주제 변화의 동향 분석
- 교양교육에서 메타버스(Metaverse)의 교육적 활용방안 탐색
- 문·이과 교차지원 현황 및 대학적응에 관한 연구
- 대학 글쓰기에서 저자성을 강화하는 교수학습 방법
- 인문 고전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 교육
- 영어 말하기 수업에서 교수언어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경험과 인식 조사
- 교양교육의 중요성 인식이 개인의 임금과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 과학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제언
- 다문화 교양수업 참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함양 과정 및 매개요인에 관한 연구
- 대학 신입생의 토론에서 나타나는 오류 양상 분석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목차
- SW·AI 기초교양에서의 핵심역량 성과 평가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자유전공학부 운영 현황 및 학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I 기반 챗봇 한국어 텍스트의 자연어 분석 및 한국어 교육 활용 모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