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거노인을 위한 IoT 서비스 디자인 연구 - 노인의 UI 인지력 향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44
- 영문명
- A Study on IoT(Internet of Things) Service Design for Elder who Living Alone - Focused on the UI(User Interface) Perception Enhancement in Elderly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채윤(Kim, Chae Yoon) 김선철(Kim, Sun Chul)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1, 213~22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독거노인을 위한 IoT 서비스 디자인 연구 - 노인의UI 인지력 향상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를 가진 본 논문은 정보화 시대 속 발달하고 있는 IoT(Internet of Things)이라는 새로운 서비스와 급격히 증가하는 노인 인구와의 만남, 즉 스마트 홈 서비스가 그들에게적용되었을 때 그들의 인지력으로 UI(User Interface) 디자인을 이해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인지력이 떨어진 70~80대 혼자 사는 노인들은 대표적인IoT 서비스 기술인 스마트홈에서 살게 될 때 마주할UI를 쉽게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라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70~80대 독거노인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1대1 심층 인터뷰,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조사자들은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해 본 적이 없고 핸드폰과 글씨의 크기가 작아 UI를 인지하기어려워하며 아이콘 자체에 익숙하지 않은 세대라서기능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가설이 옮음을 확인했고 그들은 현재 나와 있는 UI 디자인을 완전히 인지하기에 한계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shown that when the elder who living alone, especially elderly people of senior phenomenon that progressed rapidly who live alone, are applied to Smart-Home service of IoT service, which is progressing now, whether they can understand UI(User Interface)design using their own percep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hypothesis that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seventies to eighties, whose perception falls, can be hard to understand easily that if they are faced to UI design when they live in the Smart-Hom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echnology of IoT, twenty participant,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seventies to eighties, were asked to do a survey, face to face interview and usabilit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articipants has never used smart mobile phone till now. Even if when they use application of Smart-Home, not only that they had difficulty recognizing the mobile phone and small size of letters but also that they couldn’t recognize the function of icon clearly because they are the generation who are not familiar with it. It can therefore be assumed that the hypothesis which is set before the research is proved, and also the elderly people can’t comprehend existing UI design complete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디자인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고찰- 국내 산업디자인 회사를 중심으로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서비스디자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밴드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사용자 중심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1 목차
- 원형 스마트워치의 유저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방향 연구
-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카페 공간연출 사례연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지역의 독립카페 사례를 중심으로
- 명품 브랜드의 패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번트H.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코스메틱, 패션, 공간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가리봉 일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형성 방안 연구- 도쿄 2K540 AKI-OKA ARTISAN (니케-고욘마루)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3D프린팅을 이용한 재활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저성장 시대 진입에 따른 SPA 패션브랜드에 대한 연구- 국내 패션업계(에잇세컨즈)의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중고의류시장의 환경가치 및 최적의 서비스 구축 연구 - 국내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 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디자인 분야가 상·장례(喪·葬禮)문화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 변화 하는 상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을 통한 패션쇼 관람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인공지능과 창의적 프로세스의 관계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AR) 활용 서비스 현황과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가구 제조사 IKEA를 중심으로
-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기반 자율 주행 트랙터 제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중심으로
- 그린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제품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 마케팅믹스전략(4Ps)분석을 중심으로
- VFX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와 사용 소프트웨어 분석-3D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자동차 보편화에 따른 도시 디자인 변화 연구 - 도로 형태 변화 중심으로
- 독거노인을 위한 IoT 서비스 디자인 연구 - 노인의 UI 인지력 향상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시스템에 기반 한 계기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스마트카 UX(User Experience)디자인 연구-영유아 자녀가 있는 여성 운전자를 중심으로
-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경험이 색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