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 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Virtual Reality device design for activatio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남예원(Nham, Yea One) 이동민(Lee, Dong M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1, 111~1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대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더 다양한 체험을 하고자 한다. 우리의 이러한 엔터테인먼트 환경을 확장할수 있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사용한VR(Virtual Reality)을 사용하여 보다 자극적인 체험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그러나 아직은 실제 환경과 거의 동일한수준의 가상현실 세계를 재현하기에는 상당한 기술적한계가 있다. 또한 많은 사용자에게 아직 친숙하게다가오기에 여러 방해요소가 있다. 그러나 이 한계는 기술발전에 의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그러나이러한 기술 관련말고도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디자인’이다. 장시간 착용하고 있어야하고 최상의 몰입도를 제공하는 VR기기로써 디자인은 빠져서는 안될 중요한 요소이다. 그렇기에 구글 카드보드와 오큘러스 리프트 두 제품을 중심으로 디자인 요소를 분류하고 비교하여 각각의 특징을 살펴보고 시제품을 통해 디자인적 개선점을 도출해낸다. 이렇게 발전하는VR은 게임과 영상물 등의 엔터테인먼트를 시작으로서서히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실제와는 또 다른 하나의 현실을 만들어 거기에서 사람들이 생활하도록 만들어 갈 것이다.
영문 초록
To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people are willing to have more various experiences. Our entertainment environment, which is expanding with satisfying users’ desire for stimulating experience by VR(Virtual Reality), using HMD(Head Mounted Display). However because of the technical limits, reproducing the exact reality to the virtual reality world is yet difficult. Also VR has various obstacles to approach generally. Not only we can overcome this boundary by technical development, but also the ‘design’ should not be pass unnoticed. Because of its long wearing time and for engagement, to virtual reality gadgets, design is an important element. Therefore in this thesis, categorizing and comparing the design elements around the Google cardboard Oculus Rift both products and formulating the improvements in design through prototypes has been done to look at each feature.
This VR is expanding and evolving gradually, starting with the area of entertainment, including games and audiovisual. Ultimately, VR will create an another reality where people can liv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디자인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고찰- 국내 산업디자인 회사를 중심으로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서비스디자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밴드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사용자 중심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1 목차
- 원형 스마트워치의 유저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방향 연구
-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카페 공간연출 사례연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지역의 독립카페 사례를 중심으로
- 명품 브랜드의 패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번트H.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코스메틱, 패션, 공간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가리봉 일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형성 방안 연구- 도쿄 2K540 AKI-OKA ARTISAN (니케-고욘마루)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3D프린팅을 이용한 재활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저성장 시대 진입에 따른 SPA 패션브랜드에 대한 연구- 국내 패션업계(에잇세컨즈)의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중고의류시장의 환경가치 및 최적의 서비스 구축 연구 - 국내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 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디자인 분야가 상·장례(喪·葬禮)문화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 변화 하는 상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을 통한 패션쇼 관람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인공지능과 창의적 프로세스의 관계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AR) 활용 서비스 현황과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가구 제조사 IKEA를 중심으로
-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기반 자율 주행 트랙터 제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중심으로
- 그린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제품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 마케팅믹스전략(4Ps)분석을 중심으로
- VFX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와 사용 소프트웨어 분석-3D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자동차 보편화에 따른 도시 디자인 변화 연구 - 도로 형태 변화 중심으로
- 독거노인을 위한 IoT 서비스 디자인 연구 - 노인의 UI 인지력 향상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시스템에 기반 한 계기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스마트카 UX(User Experience)디자인 연구-영유아 자녀가 있는 여성 운전자를 중심으로
-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경험이 색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