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품 브랜드의 패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번트H.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60
- 영문명
- A study on character of luxury brand fashion complex curtural space -Centered by experience marketing theory of Bernd H. Schmitt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원혜민(Won, Hye Min) 최명식(Choi, Myung Shik)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1, 27~3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온라인 시장의 활성화, 해외 직구 시장의 활성화, 그리고변화하는 소비자의 식, 소비 트렌드 및 실속 위주의 라이프스타일 전반의 변화 등의 이유로 명품 브랜드들이 위기를맞이하였다. 소비자들은 자신의 가치, 우선순위를 기준에두고 꼼꼼한 비교를 통한 합리적인 소비를 하고 있다. 또한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패션 유통도 과거의 획일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상업공간에서 전통적인 방식의마케팅은 더 이상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어렵게 되었고, 소비자와 브랜드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마케팅만이살아남을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단일한 공간에 시각적, 체험의 요소가 더해지고 공간이 복합화 되고 있다. 새로움을 끊임없이 추구해야하는 치열한 패션산업에서 살아남기위한 명품 브랜드의 하나의 대책은 소비자들과 더 가까이에서 소통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간의 제공이었다.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가 반영된 복합문화공간은체험의 요소를 접목하여 패션과 또 다른 하나 이상의 컨텐츠가 합쳐져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섰다. 또한 소비자로 하여금 ‘패션을 먹고 사용한다.’는 개념을 제시하며 새로운 문화를 이끌어 가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의 제공이 부진한 판매 수요를 일으킬 수 있는 하나의 대책이기도 하지만, 거시적으로 보았을 때 브랜드 이미지의 제고, 소비자의 문화 및 여가 활동 제공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도 끌어내고 있다.…
영문 초록
International Luxury brands are recently facing a crisis for many reasons like active online serves and easily changed lifestyle. exactly direct buying is popular. Because it offers tax free and many beneficial point for customer. If online items are inexpensive in comparison to offline things, many customers are choosing the former. Customers prioritize their values and purchase items through comparison. So international brands suggest multi-cultural space against to online market and department store. Multi cultural spaces offer nearst contact between customer and brand. It exceed selling space.multi-cultural spaces offer two more contents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That spaces lead new consume trend. Multi spaces are measure of stagnation in sale. At the same time spaces are leading positive effect of brand image and offering leisure activity.
I studied multi-cultural space based on experience marketing and grasped the point of space. This study focus on studying that space has things which improve crisis of brand and prepare identity of luxury brand. Taking 6 example home and foreign, i analyze two side, complex of space and experience marketing. Complex side divided to feature and function. analysis of experience marketing is based on theory of Bernd H. Schmitt.
through this study, multi space of luxury brand is divided to 4 space hugely. Those spaces are connected well. and spaces have many contents.
but brand accepts a few customer, so relationship with customer less than other brands. to improve critical point, I think that dynamic action contents, various things are important. And finally I look for development of sustainable spac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디자인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고찰- 국내 산업디자인 회사를 중심으로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서비스디자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밴드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사용자 중심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1 목차
- 원형 스마트워치의 유저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방향 연구
-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카페 공간연출 사례연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지역의 독립카페 사례를 중심으로
- 명품 브랜드의 패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번트H.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코스메틱, 패션, 공간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가리봉 일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형성 방안 연구- 도쿄 2K540 AKI-OKA ARTISAN (니케-고욘마루)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3D프린팅을 이용한 재활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저성장 시대 진입에 따른 SPA 패션브랜드에 대한 연구- 국내 패션업계(에잇세컨즈)의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중고의류시장의 환경가치 및 최적의 서비스 구축 연구 - 국내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 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디자인 분야가 상·장례(喪·葬禮)문화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 변화 하는 상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을 통한 패션쇼 관람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인공지능과 창의적 프로세스의 관계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AR) 활용 서비스 현황과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가구 제조사 IKEA를 중심으로
-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기반 자율 주행 트랙터 제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중심으로
- 그린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제품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 마케팅믹스전략(4Ps)분석을 중심으로
- VFX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와 사용 소프트웨어 분석-3D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자동차 보편화에 따른 도시 디자인 변화 연구 - 도로 형태 변화 중심으로
- 독거노인을 위한 IoT 서비스 디자인 연구 - 노인의 UI 인지력 향상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시스템에 기반 한 계기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스마트카 UX(User Experience)디자인 연구-영유아 자녀가 있는 여성 운전자를 중심으로
-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경험이 색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