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인공지능과 창의적 프로세스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79
- 영문명
- A Study on a Designer Role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Emphasize on Relation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reative Proces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우종희(Woo, Jong Hee) 김선철(Kim, Sun Chul)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1, 139~14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의 정신노동으로의 확대로 대변되는4차 산업 혁명 이후 변화된 사회와 직업구조에서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이다. 미래사회에서 인공지능이대체할 수 있는 역할과 한계점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디자이너의 역할이 어떤 분야로 어떻게 확대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 연구이다. 인공지능의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창의력의 중요성이 무엇보다 부각되고있는 이 시점에서 창의력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직업군인디자이너의 역할을 마케팅, 경영 등의 다른 산업분야에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디자이너의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시각적 결과물을 만드는디자이너의 역할을 창의적 사고 전문가로 디자이너의 의미를 재 정의한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앞으로 인공지능이 대체하기 어려운 창의력 관련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맡게 될 것이다. 미래 디자이너는 인공지능을 효과적인 창의력의 보조 도구로 활용하며, 기존의 디자이너가 수행하던 역할 외에 기획 등과 같은 창의적 활동이 필요한 분야에서 전문가로써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a future designer role in the era of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industrial structure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featured as exp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designer role based on the limitation of AI role and its limitation in industr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inding methods of utilizing designer in other fields such as marketing, management as creativity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remarkable ability. As the designer role is expanding, a definition of designer role should be re-defined from visualization to creativity expert. As a result, a designer will undertake the key role in the field of creativity which has the low possibility of being replaced by AI.
Future designers will utilize AI as an assistive tool for their creativity, and they will be a creativity expert in creativity relevant fields such as planning, marketing, and managemen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디자인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고찰- 국내 산업디자인 회사를 중심으로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서비스디자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밴드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사용자 중심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1 목차
- 원형 스마트워치의 유저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방향 연구
-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카페 공간연출 사례연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지역의 독립카페 사례를 중심으로
- 명품 브랜드의 패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번트H.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코스메틱, 패션, 공간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가리봉 일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형성 방안 연구- 도쿄 2K540 AKI-OKA ARTISAN (니케-고욘마루)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3D프린팅을 이용한 재활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저성장 시대 진입에 따른 SPA 패션브랜드에 대한 연구- 국내 패션업계(에잇세컨즈)의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중고의류시장의 환경가치 및 최적의 서비스 구축 연구 - 국내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 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디자인 분야가 상·장례(喪·葬禮)문화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 변화 하는 상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을 통한 패션쇼 관람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인공지능과 창의적 프로세스의 관계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AR) 활용 서비스 현황과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가구 제조사 IKEA를 중심으로
-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기반 자율 주행 트랙터 제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중심으로
- 그린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제품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 마케팅믹스전략(4Ps)분석을 중심으로
- VFX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와 사용 소프트웨어 분석-3D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자동차 보편화에 따른 도시 디자인 변화 연구 - 도로 형태 변화 중심으로
- 독거노인을 위한 IoT 서비스 디자인 연구 - 노인의 UI 인지력 향상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시스템에 기반 한 계기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스마트카 UX(User Experience)디자인 연구-영유아 자녀가 있는 여성 운전자를 중심으로
-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경험이 색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