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D프린팅을 이용한 재활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
- 영문명
- A research of recycling design using 3D printing skill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이동연(Lee, Dong Yeon) 최명식(Choi, myong shik)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1, 73~8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전중인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현재 3D프린팅의 기술은 건축물이나 음식을 만들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을 했다. 현재 대중적으로 사용중인 SLS방식이나 Inkjet방식을 좀더 기술적으로 보완하고 폐자재들을 3D프린팅에 필요한 재료로 바꾸는 기술만 발전하면 3D프린팅을 이용한 재활용디자인 방안이 아주 먼 미래의 이야기만은 아닐 것이다. 어떻게 보면 전혀 연관이 없을 수있는 3D프린팅과 재활용디자인이 활성화 된다면 환경오염을줄이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나와있는 3D프린팅 기술을 조금 더 보완하고사람들이 쉽게 사용할수 있을 만큼 보편화시켜서 그냥 단순히폐자재들을 이용한 재활용이 아니라 가정의 인테리어나 가구디자인을 하면서 흥미롭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방안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using the 3D printing technology that is sustainable development, now, was trying to become help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has become a serious global problem. Technical current 3D printing had developed to such an extent that can make buildings and cooking.
And more technically complement the SLS system and Inkjet method that is used in the currently popular, it is very far recycling design plan using the 3D printing if development only technology to change the material required for the 3D printing waste material future will not just talk. If how you look, if enabled 3D printing and recycling design that can be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at all, going to be a lot of help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study complements 3D printing skills and makes common to be used easily by people. so I propose the interesting and useful design methods not only just meaning ‘recycling’, also can be interior designing or furniture designing.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디자인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고찰- 국내 산업디자인 회사를 중심으로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서비스디자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밴드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사용자 중심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1 목차
- 원형 스마트워치의 유저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방향 연구
-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카페 공간연출 사례연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지역의 독립카페 사례를 중심으로
- 명품 브랜드의 패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번트H.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코스메틱, 패션, 공간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가리봉 일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형성 방안 연구- 도쿄 2K540 AKI-OKA ARTISAN (니케-고욘마루)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3D프린팅을 이용한 재활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저성장 시대 진입에 따른 SPA 패션브랜드에 대한 연구- 국내 패션업계(에잇세컨즈)의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중고의류시장의 환경가치 및 최적의 서비스 구축 연구 - 국내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 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디자인 분야가 상·장례(喪·葬禮)문화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 변화 하는 상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을 통한 패션쇼 관람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인공지능과 창의적 프로세스의 관계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AR) 활용 서비스 현황과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가구 제조사 IKEA를 중심으로
-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기반 자율 주행 트랙터 제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중심으로
- 그린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제품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 마케팅믹스전략(4Ps)분석을 중심으로
- VFX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와 사용 소프트웨어 분석-3D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자동차 보편화에 따른 도시 디자인 변화 연구 - 도로 형태 변화 중심으로
- 독거노인을 위한 IoT 서비스 디자인 연구 - 노인의 UI 인지력 향상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시스템에 기반 한 계기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스마트카 UX(User Experience)디자인 연구-영유아 자녀가 있는 여성 운전자를 중심으로
-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경험이 색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