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형 스마트워치의 유저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방향 연구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User Interface for Circular Smart Watch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이수진(Lee, Su Jin) 이동민(Lee, Dong M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1, 5~1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 워치의 시장이 급격하게커지고, 그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며 원형 디스플레이의 스마트워치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아직원형 스마트워치 디스플레이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기존에 진행되었던 유저 인터페이스 연구들은 사각형 디스플레이 위주이다. 그 결과 현재 기존의 사각형 디스플레이에 쓰여지던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원형 스마트워치에 적용되어, 최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지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형 유저 디스플레이 디자인 요소와 시중의 원형 스마트워치 유저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원형 스마트워치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개선점 및 방향성을 제시한다. 연구 분석 결과, 사용자 경험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원형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디자인, 어플 레이아웃 디자인 그리고 내비게이션 디자인이 더욱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본연구는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참고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Resently, smart watch market is growing rapidly worldwide, accordingly the variety of smart watch products have been launched and smart watch of circular display is developed now. But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for circular smart watch scarcely has been done yet and existing studies for user interface design are focused on rectangular display.
As a result, the existing user interface design used for rectangular display is applied in a circular smart watch, it does not provide the optimal user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circular display design elements and interface design practices of current released circular smart watch and suggests improvements and direction for the user interface design for the circular smart watch. It was conclud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at glanceable design, layout design and navigation design for circular display is more necessary to satisfy the user experiences.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to development of various forms of display interface desig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디자인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고찰- 국내 산업디자인 회사를 중심으로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서비스디자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밴드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사용자 중심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1 목차
- 원형 스마트워치의 유저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방향 연구
-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카페 공간연출 사례연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지역의 독립카페 사례를 중심으로
- 명품 브랜드의 패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번트H.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코스메틱, 패션, 공간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가리봉 일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형성 방안 연구- 도쿄 2K540 AKI-OKA ARTISAN (니케-고욘마루)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3D프린팅을 이용한 재활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저성장 시대 진입에 따른 SPA 패션브랜드에 대한 연구- 국내 패션업계(에잇세컨즈)의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중고의류시장의 환경가치 및 최적의 서비스 구축 연구 - 국내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 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디자인 분야가 상·장례(喪·葬禮)문화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 변화 하는 상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을 통한 패션쇼 관람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인공지능과 창의적 프로세스의 관계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AR) 활용 서비스 현황과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가구 제조사 IKEA를 중심으로
-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기반 자율 주행 트랙터 제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중심으로
- 그린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제품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 마케팅믹스전략(4Ps)분석을 중심으로
- VFX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와 사용 소프트웨어 분석-3D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자동차 보편화에 따른 도시 디자인 변화 연구 - 도로 형태 변화 중심으로
- 독거노인을 위한 IoT 서비스 디자인 연구 - 노인의 UI 인지력 향상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시스템에 기반 한 계기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스마트카 UX(User Experience)디자인 연구-영유아 자녀가 있는 여성 운전자를 중심으로
-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경험이 색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