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이용수 22
- 영문명
- A study of Hangul Cultural Product Desig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장주상(Jang, Ju Sang) 이동민(Lee, Dongmin)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19 No.1, 155~16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네스코 한국의 세계 문화유산지역, 서울의 인사동, 지방자치단체 지역의 유적지, 고적지 등을 조사 해본 결과 국가의상징성과 관광명소의 지역과 관련 없는 국적불명의 기념상품들이 우리 상품보다 진열장에 메인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관광 상품 디자인은 이 분야의 전문가가 아니면 일반국민들은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힘든 일이지만이 분야 전문가와 디자이너들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창조적인 새로운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국가 문화 융성발전에 앞장서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상품에 있어서 한글 문양이 적용된 사례를 찾아보고 그 문제점을 파악한 후에, 한글을 보다 더 가독성 있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문양으로서 적용하는 제안을 해보고자하였다. 문자가 역사적으로 깊게 연관되어 있는 요소라는 점을 고려하여 살펴보면, 현재 문자가 적용되어 있는 문화상품들은 한글화하여 문화상품에 적용하는 방법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한글 단어를 사용하여, 언어의 본질적인 역할인 의미전달과또한 한글의 조형적 특징을 간단하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것이었다. 단어의 의미와 글자의 조형성을 동시에 보여 줄 수있는 디자인 방향을 강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Production memorial of UNESCO Korea's World Heritage Area, unrelated areas and Seoul's Insadong, local landmarks, gojeokji such examination, we national symbolism and attractions in the communal area Nationality unknown have become the main showcase than our products It is holding. Tourism product design, because an expert in this field or the general public are not something that can be easily accessible. Hard work, but to develop creative new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continued efforts of these experts and designers should take the lead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flourished. Use the Hangul word, it was to deliver essential role to make sense of the language and can also easily show the formative features of Hangul. And to take the design direction and meaning of the word can show the character of the Formative tim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디자인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관한 고찰- 국내 산업디자인 회사를 중심으로
-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서비스디자인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스마트밴드에 적용되는 헬스케어 사용자 중심 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19 No.1 목차
- 원형 스마트워치의 유저 인터페이스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방향 연구
-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카페 공간연출 사례연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지역의 독립카페 사례를 중심으로
- 명품 브랜드의 패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번트H.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이론을 중심으로
-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코스메틱, 패션, 공간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가리봉 일대 지역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형성 방안 연구- 도쿄 2K540 AKI-OKA ARTISAN (니케-고욘마루)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 3D프린팅을 이용한 재활용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저성장 시대 진입에 따른 SPA 패션브랜드에 대한 연구- 국내 패션업계(에잇세컨즈)의 개선방향을 중심으로
- 중고의류시장의 환경가치 및 최적의 서비스 구축 연구 - 국내를 중심으로
- 가상현실 기기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디자인 분야가 상·장례(喪·葬禮)문화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연구- 변화 하는 상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을 통한 패션쇼 관람 서비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4차 산업혁명 시대와 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인공지능과 창의적 프로세스의 관계를 중심으로
- 증강현실(AR) 활용 서비스 현황과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가구 제조사 IKEA를 중심으로
- 한글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 기반 자율 주행 트랙터 제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중심으로
- 그린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제품 전략에 대한 사례 연구 - 마케팅믹스전략(4Ps)분석을 중심으로
- VFX 콘텐츠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와 사용 소프트웨어 분석-3D 콘텐츠 제작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자동차 보편화에 따른 도시 디자인 변화 연구 - 도로 형태 변화 중심으로
- 독거노인을 위한 IoT 서비스 디자인 연구 - 노인의 UI 인지력 향상을 중심으로
- 자율주행 시스템에 기반 한 계기판 디자인에 관한 연구
- ICT(Internet Communication Technology)를 활용한 스마트카 UX(User Experience)디자인 연구-영유아 자녀가 있는 여성 운전자를 중심으로
-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경험이 색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을 위한 한국 여가 경험과 취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달리기 열풍에 대한 이해 : 사람들은 왜 달리기에 매료되는가?
- 중국 대학생의 심리적 불안감이 수면 방해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