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대전환 시대 대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요구도 분석

이용수 205

영문명
A Needs Analysis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Era of Great Digital Transform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은 김경아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1호, 211~22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대전환시대 대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대학의 디지털시민성 교양교육 방안을 탐색하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대학생 4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 결과의 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였다. 요구도 분석을 위하여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model 분석을 수행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구성한 디지털 시민성 척도의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디지털 정체성’, ‘디지털 기술 활용’, ‘디지털의 균형적 사용’, ‘디지털 보안’, ‘디지털 공감’,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디지털 리터러시 및 비판적 사고’, ‘디지털 권리와 책임’, ‘디지털을 통한 사회적 참여’ 총 9개 구성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디지털 시민성 교육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결과, 대학생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받은 경우가 많았으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인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시민성 교육요구도 분석을 종합한 한 결과, ‘디지털의균형적 사용’, ‘디지털 보안’, ‘디지털 권리와 책임’, ‘디지털 리터러시 및 비판적 사고’가 최우선순위로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대전환시대 대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 강화를위한 교육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 for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n the era of great digital transformation, to explore ways to teach digital citizenship as par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to reflect digital citizenship learning in our development of such course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414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PSS 25.0 was use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To perform a needs analysis, a t-test,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us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comprehensivel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digital citizenship scale constructed in this study extracted a total of 9 components: ‘digital identity’, ‘use of digital technology’, ‘balanced use of digital technology’, ‘digital security’, ‘digital empathy’, ‘digital communication’, ‘digital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digit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digital technology’.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of the survey participants, an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most university students receive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and that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such education was very high. Third,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showed that ‘balanced use of digital technology’, ‘digital security’, ‘digit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nd ‘digital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had the highest priority, and that ‘social engagement through digital technology’ had a secondary priorit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al plan to enhance the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era of great digital transform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및 분석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은,김경아. (2023).디지털 대전환 시대 대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7 (1), 211-226

MLA

김지은,김경아. "디지털 대전환 시대 대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7.1(2023): 211-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