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멀티미디어 활용 쓰기 유형의 연구 동향

이용수 146

영문명
Research Trend on the Writing Patterns of Multimedia Utilization: Focusing on Korean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이란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1호, 77~8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교육에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쓰기의 유형을 살펴보고 발전적인 수업의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2편의 관련 논문을 목적표집하여 해당 연구들에서 활용되고있는 매체 유형과 상호작용 대상, 글쓰기 양식 등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장르 매체와 도구매체를 분류하여 적용하고 해당 연구들을 장르, 도구, 장르와 도구라는 활용매체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민요, 전래동화, 영상자료, 홈페이지 프로필 등의 장르매체 그리고 이메일, 인스타그램, 영상편집기, 스마트폰, Zoom 등의 도구매체들이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상호작용역시 컴퓨터의 프로그램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쓰기, CMC를 통한 네트워킹 활용 타 사용자와의 소통적쓰기, 교수자 및 타 학습자와의 면대면 쓰기 등의 쓰기 양식들이 활용되고 있었다. 글쓰기 양식으로는장르매체를 읽기자료로 활용한 후, 문자 쓰기를 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타 장르나 활용 장르매체와동일 장르로 창작활동을 실시하는 경우도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성 있는 각 매체 쓰기에관한 리터러시 교육을 선행시키고 학습자들이 각 장르에 적합한 글쓰기를 하도록 지도하는 장르중심접근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이는 창작중심 미디어교육 관점을 투영한 것으로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가외국어교육인 한국어교육에도 깊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제안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s of writing with multimedia and to suggest an advanced direction for successful classes. To the end, this study took 22 academic studies through a purposeful sampling method and analysed each kind of medium used, as well as the subject’s learners interaction with the writing patterns utilized in Korean education. Most of all, it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kinds of utilized media: genre media, vessel media and vessel media with genre media. As a result, it found that there were variety of genre media used, such as traditional folk songs, fairy tales, video materials, homepage profiles. The same was found to be true for vessel media, such as e-mails, Instagram, video-editors, smart-phones, and Zoom. In terms of interaction, individual writings with computer programs, communicative CMC-based writings with other users, and face-to-face cooperative writings with the teacher and other learners were shown as well. Also, it identified the writing activities for creating the identical or different genres with the previously utilized genre media, as well as the writings through letters after reading genre materials. Furthermore, a genre-based approach was applied to the teachings in which genre literacy education was operated in advance for creating each authentic media texts and the instruction of learners to write in the appropriate genre. This shows that the perspective on creation-based media education was reflected, and that the critical media literacy education deeply affects Korean teaching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some suggest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검토: 멀티미디어 활용 언어교육
3. 연구 내용 및 결과: 멀티미디어 활용 쓰기 유형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란. (2023).멀티미디어 활용 쓰기 유형의 연구 동향. 교양교육연구, 17 (1), 77-89

MLA

이란. "멀티미디어 활용 쓰기 유형의 연구 동향." 교양교육연구, 17.1(2023): 77-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