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 분석

이용수 37

영문명
Analyzing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nd Educational Needs for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 Focusing on A College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서일보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1호, 183~19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문항을개발하여 조사를 시행한 결과 22년 11월에 2주 동안 교수 33명, 재학생 502명이 응답하였다. 분석방법은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첫째, A전문대학의 교양교육에 대한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서 교수와 비교하면 학생이 교양교육과정에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와 학생 모두 공통적으로 ‘교양교육 수준의 적절성’ 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문항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항목은 ‘개설 교과목수의 적절성’, ‘직업인으로 성장 도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의 교육요구도를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로 분석한 결과, 교수는 ‘학습에 적합한 교수법으로 강의진행’, ‘학생과 충분한 의사소통’, ‘교양과목 선택의 다양성’을 학생은 ‘학습내용에 적합한 교수법으로 강의진행’을 최우선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판단했다. 셋째, 교양교육 구성내용에 관한 요구를 Borich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로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역량은 ‘의사표현’, ‘협상능력’, ‘자기관리’로 교양교육과정 개편 시 우선적으로 해당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목 배치를 고려할필요가 있다. 이들 결과를 기반으로 더 나은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양교육 선택의 폭을넓혀 주는 방안을 모색하고 대학의 교양교육 개편 시 전공에 따라 중요한 직업기초 능력을 도출한결과를 교양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측면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학과별 상이한재학 기간과 제한된 졸업학점으로 인해 교육수요를 온전히 반영하는 과정을 설계하는 데는 현실적인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교육 개설 요구를 세밀히 분석하여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수요를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As a result of developing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professors and students concerning the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hrough conducting a corresponding survey, 33 professors and 502 enrolled students responded for two weeks in November of 2022. The analysis method utilized the Borich Demand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liberal arts education in A college, the survey found that student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compared to professors regarding all of the questions.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were highly aware of the ‘relev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level’ while the item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he questions dealing with the ‘adequacy of the number of subjects opened’ and the ‘help to grow as professional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of our university's liberal arts curriculum using the Borich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professors cited ‘lectures with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learning’, ‘sufficient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diversity in liberal arts course selection’. Student ‘B’ determined that ‘lecture progress with a teaching method suitable for the learning content’ was their top priority when it came to impro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o operate a better liberal arts curriculum, we need to seek ways to expand the range of choices for liberal arts education. Furthermore, we need to derive important basic vocational skills according to majors during the reorganiz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This means that liberal arts education needs to reflect these changes in both its design and operational aspects. However, due to the different enrollment periods and limited graduation credits allocated to each department, there are real limitations in designing a course that fully reflects these educational deman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detail the students' needs in order to immediately meet their educational goals, and to establish a flexible curriculum that reflects their demands for non-subject programs.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일보. (2023).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7 (1), 183-195

MLA

서일보.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7.1(2023): 183-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