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양교육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 재설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83

영문명
A Study on Re-positioning General Education in the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기봉 남진숙 김혜영 박병철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1호, 11~2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전담 조직과 교원의 수에서 가장 큰 성장을 했다. <한국교양교육학회>는 회원이 2,000명이 넘을 정도로 급성장했고, 교양교육연구 를 인용하는 IF (Impact Factor) 지수가 ‘복합학’에서 1위, 전체 학술지로는 7위를 차지할 만큼 학문적 성과도 비약적 성장을 했다. 한국에서 학문적 위상을 설정하는 좌표이면서 연구지원 사업을 위한 국가 R&D 예산의 몫을 분배하는 준거로 사용되는 것이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이다. 앞에서 열거한 한국교양교육학회의 규모와 저널의 수준은 ‘대분류-중분류-소분류-세분류’로 위계화된 <학술연구분야분류표>에서 적어도 중분류 이상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교양기초교육’이란 이름으로 가장 낮은 단계인 세분류에 위치해있다. 이런 분류체계는 교양의 학문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학술연구활동 및 연구지원에 있어 현실적으로 적절한 평가를 받기도 어려운 구조이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교양교육학회, 전국교양교육협의회,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은 연합해서 그런 모순을 시정하는 많은 시도를 지속적으로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노력을 역사로 정리하고,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정신에 부응해서 교양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상 위치를 어디에 그리고 어떻게 재설정할지에 대해 모색했다. 융합인재 양성을 요청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학문 분야의 분류(分流)가 아니라 서로 연결하는 합류(合流)를 지향하면서 교양 르네상스가 일어난다.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의 어디에 위치하느냐가 교양의 지식범주에 관한 문제라면, 우리 시대가 요청하는 교양의 개념화를 어떻게 하느냐로 그 이후의 분류방식이 결정된다. 교양의 범주와 개념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교양학’이란 학문 분야의 신설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술연구분야분류표>에서 교양학의 학문적 위상을 위해, 다음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정신을 타고 대분류로 격상시키는 것이다. 둘째는 교양은 “인간이 알아야 할 거의 모든 지식”을 포괄하기에 문과 및 이과의 여러 기초학문의 중분류로 위치시키는 방안이다. 셋째는 종래 가장 유력하게 논의됐던 안인, 대분류 복합학의 중분류로 조정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학술연구분야분류표>의 재설정은 교양교육의 정체성과 독립성을 확보하는 일이다. 본 연구는 <학술연구분야분류표>를 구체적으로 3가지 안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학술연구분야분류에 대한 앞으로의 제도적 논의를 대비한 선제적인 준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general education has grown more sharply than ever in the number of dedicated organizations and professors in universities. The “Korea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has grown rapidly into an organization with more than 2,000 members, and its academic achievement has grown so rapidly that the IF (Impact Factor) of th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ranked 1st in the major category of ‘Complex Studies’ and ranked 7th among all academic journals.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s is used as a coordinate for establishing academic status in Korea and as a criterion for distributing shares of the national R&D budget for research support projects. The organizational size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and the academic level of its journal definitely deserves a higher ranking than the ‘Medium Classification’ in the , which is hierarchically divided into “Large Classification, Medium Classification, Small Classification and Detail Classification.” However, in reality, it is located in ‘Detail Classification’, which is the lowest rank under the name of ‘Basic and General Education’. This classification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receive an appropriate evaluation in terms of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and research support. Over the past decade, the Korean Association for General Education, the National Council for General Education, and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have continuously made many attempts to correct such contradictions. This study summarized the past efforts into a history of Korean general education and sought where and how we should relocate general education in the in order to live up to the spirit of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calls for fostering convergence talents, a renaissance of general education designed for a fusion of the academic fields, is expected, instead of one that promotes specialization. If the placement of general education in the is a matter falls under the knowledge category, the subsequent classification method is determined by how, in our times, we can conceptualize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study the category and concept of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academic field called ‘General Studies’. This study proposes to set the academic status of ‘General Studies’ in the in the following three ways. The first option is to take the spiri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upgrade it to the ‘Large Classification’. The second option is to position it as a division of various basic studies in humanities and sciences, because ‘General Studies’ encompasses “almost all knowledge that humans need to know.” The third option is to adjust it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under the Large Classification of ‘Complex Studies’. Ultimately, the resetting of the is to secure the identity and independence of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pecifically presented three options for the and that it is a preemptive preparation for future institutional discussions on the classification of academic research fields.

목차

1. 교양교육의 정상화와 교양의 학문 정체성
2. <학술연구분야분류표> 재설정의 근거와 노력의 역사
3. 재설정을 위한 3가지 안
4. 추진 방향과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봉,남진숙,김혜영,박병철. (2023).교양교육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 재설정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7 (1), 11-23

MLA

김기봉,남진숙,김혜영,박병철. "교양교육의 <학술연구분야분류표> 재설정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7.1(2023): 1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