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문서의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오류 양상
이용수 7
- 영문명
- Spacing and punctuation marks an official document of the error patter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황경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1호, 381~4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공문서에 나타난 자료를 분석하여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의 오류 양상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공문서는 공공 기관끼리만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관보나 공고를 통해 대외적으로 알리기도 한다. 공문서의 문장이나 어문 규범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 공공 기관 내부에서 업무를 보는데 차질이 생기고 민원인이나 국민들에게 불편을 끼치게 된다. 그러므로 공문서의 어문 규범, 단어 선택, 문법 등의 측면에서 모범적인 문서 작성이 이루어진다면 업무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아지고 국민들에게도 호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띄어쓰기는 한글 맞춤법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것이다. 제2항은 ‘띄어쓰기’ 규정인데, 이는 의미적 단위의 경계를 표시하여 글자 사용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도모하기 위한 조항이다. 띄어쓰기 중에서 공문서에서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는 ‘명사, 대명사, 접사, 조사, 부사, 관형사’ 등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문장 부호 규정은 19개의 문장 부호를 7가지로 분류하여 문장 부호 용법을 규정해 놓고 있다. 문장 부호는 ‘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이음표, 드러냄표, 안드러냄표’ 등으로 나뉜다. 그중에서 마침표의 ‘온점’, 쉼표의 ‘빗금ㆍ가운뎃점ㆍ쌍점ㆍ반점’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ppears in the documents to analyze the data spacing and punctuation marks that was designed to discuss aspects of the error. Summary is shown below. Spacing the Chapter 1 General Article 2 Paragaph Hangul spelling, each word of the sentence is in principle a space sseumeul. Is defined as. And Section 1 of Chapter 5 of the first spacing 10 is under the specific regulations. Spacing handled things in the 'nouns, pronouns, prefixes, suffixes, research, and adverbs, pre-noun' said. Punctuation rules by 19 by 7 kinds of punctuation to use punctuation rull said. Punctuation is a period, comma, quotation marks, mukeumpyo, yieumpyo, deureonaempyo, andeureonaempyo 'and divided. Period in which the onjeom, comma, slash, gaundetjeom, ssangjeom spot and was discuss. The languages with respect to education appears to be written correctly, because the rull the rules of punctuation is needed. And punctuation, however, ignores the rules of civil petitions and you want the inconvenience of the people living languages, the state laws must be accurate.
목차
1. 서론
2. 띄어쓰기
3. 문장 부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
- 〈최척전〉의 문학지리학적 해석과 소설교육
- 향가 <찬기파랑가>, 윤선도 <오우가>, 박목월 <나그네>의 달의 의미 고찰
- 淸原郡 邑面 變遷과 이름 由來
- 국어 사용에서 언어 환경의 현황과 과제
- 추리서사를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청중을 고려한 발표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연구
- 국어교육에서 연계성의 개념과 양상
-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장 중심적 검토
- 공문서의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오류 양상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 연결어미의 연구
- 내용 생성 단계에서의 사고력 함양을 위한 전략 개발 I
- 요약하기 전략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 메타 분석적 접근
- 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 방향 연구
- ‘정의문 형태’를 통한 능동적 글쓰기 방안
- 논설문 요약의 모습이 평가에 지니는 함의
- 식민지기 국어 교과서와 텍스트의 ‘의미 관계’ 검토
- 蛟山의 정신적 根源 考察
- 시민의식의 발전과 국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 국어능력 신장을 위한 영역통합 수행평가 방안
- <洪將軍傳>의 형성과정과 작자의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