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민의식의 발전과 국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Democracy And A Proper Direction For National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재승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1호, 109~1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어 광풍’이라고 불릴 정도로 영어교육으로 온 나라가 시끄럽다. 국제화 시대에 영어가 강조될수록 나쁠 것은 없겠지만, 만약 불필요하게 많은 비용이 들고 효과가 적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영어교육에 대한 문제는 단순히 영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국민들의 언어생활과 직결되는 문제라서 국어교육과도 밀접하여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다. 이럴 때일수록, 국어교육의 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국어교육의 방향을 점검하기 위해, 서양이나 우리나라에서 과거에 말과 글에 대한 정책의 변화가 어떻게 되어 왔는가를 살피는 것은 매우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것을 살피는 것은 시민의식의 발전과 관련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문자생활에서 시민의식은 여러 사람들이 쉽고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여 생활이 편리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국어교육의 방향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과서 그리고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그래서, 국어교육은 올바르게 되고 있는지, 부족한 점은 없는지, 있다면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그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Language plays an essential role in conducting everyday lives. Without language,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hand down and develop our civilization. The most fundamental purpose of language is to communicate our thoughts and feelings. So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education is to teach the most effective use of language to get across our thoughts and feeling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policies of other countries and find out a desirable relation between democratic development and national language policies. We will also examine whet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day is indeed structured to promote an effective communicative use of the language. In so doing, we will review what kind of language education policy is being materialized by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and the current textbooks. This review will then suggest some revisions that need to be made i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national language education toda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proper direc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mocratic development of the socie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시민의식의 발전과 언어
Ⅲ.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국어교육 정책
Ⅳ. 국어교육의 방향
Ⅴ.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
- 〈최척전〉의 문학지리학적 해석과 소설교육
- 향가 <찬기파랑가>, 윤선도 <오우가>, 박목월 <나그네>의 달의 의미 고찰
- 淸原郡 邑面 變遷과 이름 由來
- 국어 사용에서 언어 환경의 현황과 과제
- 추리서사를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청중을 고려한 발표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연구
- 국어교육에서 연계성의 개념과 양상
-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장 중심적 검토
- 공문서의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오류 양상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 연결어미의 연구
- 내용 생성 단계에서의 사고력 함양을 위한 전략 개발 I
- 요약하기 전략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 메타 분석적 접근
- 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 방향 연구
- ‘정의문 형태’를 통한 능동적 글쓰기 방안
- 논설문 요약의 모습이 평가에 지니는 함의
- 식민지기 국어 교과서와 텍스트의 ‘의미 관계’ 검토
- 蛟山의 정신적 根源 考察
- 시민의식의 발전과 국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 국어능력 신장을 위한 영역통합 수행평가 방안
- <洪將軍傳>의 형성과정과 작자의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