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중을 고려한 발표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n the verbal·nonverbal expression according to the audience re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변정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1호, 133~1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대학생들의 3분 스피치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발표를 위한 청중 고려의 요인으로서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으로 나누어 살피었다. 언어적 측면에서는 주제 선정과 질문법을, 비언어적 측면에서는 자신감, 성실성, 안정감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대학생들은 주제 선정에 있어서 동료 학생들에게 유익한 정보 전달을 지향하였고 내용 전달에 있어서도 주제에 대한 청중의 참여를 유도하는 질문법을 선택하여 효과적인 발표를 전개하였다. 비언어적 측면에서 자신감은 화자 지향적인 특성을 지니게 되어 지나칠 때는 청중을 억압하는 듯하여 거부감을 갖게 한다. 성실성은 대학생 발표에서 가장 비중 있는 태도로서 준비성에 바탕을 둔다고 하겠다. 안정감은 준비를 갖춘 내용을 상황에 맞게 차분하게 전달하려는 자세이다. 이 논문에서는 비언어적 표현에서 두드러지는 이 세 가지 요소들 중 성실성을 기본 바탕에 두며 가장 비중 있게 놓았다. 그리고 안정감과 자신감에 비중을 두어 청중 고려의 태도로서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ive speech according to the audience reaction for university student. For this purpose, we analysed that freshmen express for 3 minute. They define their speech subject and apply the question for the audience.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 speaker consider the audience. The aim of university speech is here. Especially, this study survey three presentation attitude which is needed to university student.: self-confidence, earnestness, stabilization. The self-confidence is based on the presenter but the earnest is needed to the presenter for the audience into the interaction communication. Also, it is not effective presentation that the presenter have too self-confidence. The earnest is that the presenter prepare his presentation completely.: pronunciation, accent, tempo, eye contact, gesture etc. The stabilization have a meaning when the presenter prepare to agree with content and expression of the presentation. Therefore the earnestness is most important attitude for the effective presentation.
목차
1. 서론
2. 의사소통과 말하기
3. 청중 고려의 요소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
- 〈최척전〉의 문학지리학적 해석과 소설교육
- 향가 <찬기파랑가>, 윤선도 <오우가>, 박목월 <나그네>의 달의 의미 고찰
- 淸原郡 邑面 變遷과 이름 由來
- 국어 사용에서 언어 환경의 현황과 과제
- 추리서사를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청중을 고려한 발표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연구
- 국어교육에서 연계성의 개념과 양상
-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장 중심적 검토
- 공문서의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오류 양상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 연결어미의 연구
- 내용 생성 단계에서의 사고력 함양을 위한 전략 개발 I
- 요약하기 전략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 메타 분석적 접근
- 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 방향 연구
- ‘정의문 형태’를 통한 능동적 글쓰기 방안
- 논설문 요약의 모습이 평가에 지니는 함의
- 식민지기 국어 교과서와 텍스트의 ‘의미 관계’ 검토
- 蛟山의 정신적 根源 考察
- 시민의식의 발전과 국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 국어능력 신장을 위한 영역통합 수행평가 방안
- <洪將軍傳>의 형성과정과 작자의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