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능력 신장을 위한 영역통합 수행평가 방안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Domain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plan for Korean Language ability extens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1호, 279~2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행평가의 취지를 살리고 평가 본래의 목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국어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영역통합 수행평가를 모색하였다. 현재 영역별로 분리하여 평가하고 있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지식(문법), 문학의 여섯 영역을 국어학습 활동과 국어학습 내용에 따라 통합하고, 교수ㆍ학습 활동과 병행하여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행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안은 국어교과 수행평가 결과가 단순히 학습자의 국어학습 성취수준만을 가늠하는 정도를 벗어난다. 즉, 국어교과 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가 보이는 자연스러운 영역 통합적인 국어수행 상태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국어능력 신장까지 의도한다. 이러한 영역통합 국어교과 수행평가는 학습자의 통합적 언어사용 기능을 향상하고, 더불어 언어수행에 따른 학습자의 사고활동으로 종합적 사고력도 신장한다. 즉, 학습자의 국어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for a domain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as a way for improving learners' korean language abilities in order to realize the original object of performance assessment. Currently, Korean language performance assessments are being done by each six sections;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However, this research suggests a domain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s for integrating six sections according to korean language studying activity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Also this assesment can be done with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This performance assessment is for improving learners' Korean language abilities considering learning process as well as judging learners'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This domain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can improve learners' integrated Korean language skills, and also develop learners' synthetic thinking. That is, it can improve learners' Korean language 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영역통합 수행평가의 원리
Ⅳ. 영역통합 수행평가의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
- 〈최척전〉의 문학지리학적 해석과 소설교육
- 향가 <찬기파랑가>, 윤선도 <오우가>, 박목월 <나그네>의 달의 의미 고찰
- 淸原郡 邑面 變遷과 이름 由來
- 국어 사용에서 언어 환경의 현황과 과제
- 추리서사를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청중을 고려한 발표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연구
- 국어교육에서 연계성의 개념과 양상
-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장 중심적 검토
- 공문서의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오류 양상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 연결어미의 연구
- 내용 생성 단계에서의 사고력 함양을 위한 전략 개발 I
- 요약하기 전략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 메타 분석적 접근
- 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 방향 연구
- ‘정의문 형태’를 통한 능동적 글쓰기 방안
- 논설문 요약의 모습이 평가에 지니는 함의
- 식민지기 국어 교과서와 텍스트의 ‘의미 관계’ 검토
- 蛟山의 정신적 根源 考察
- 시민의식의 발전과 국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 국어능력 신장을 위한 영역통합 수행평가 방안
- <洪將軍傳>의 형성과정과 작자의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