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 방향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Directions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Construction in Korean Educational Grammar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병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1호, 255~27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국어과 교육적 가치가 있는 문법 요소들로 구조화한 문법을 교육 문법으로 칭하고,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 방향을 고찰하고자 했다.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 방향은 국어과 문법 영역의 목표에 부합해야 하고, 문법 영역의 목표는 교육 문법의 성격을 기준으로 수립되어야 함을 논의했다. 여기서는 교육 문법의 성격을 언어의 사회적 기능과 세계 문화의 다양성 유지ㆍ보존과 관련지어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국어 사용 기능 신장을 위한 기반 지식으로서의 성격, 두 번째는 국어 현상에 대한 탐구 능력 신장 대상으로서의 성격, 세 번째는 한국인의 정신세계 형성 수단으로서의 성격, 네 번째는 국어문화 유산이자 국어 문화 생산 수단으로서의 성격이 그것이다. 이와 같은 성격에 따라 문법 영역의 인지적 목표와 정의적 목표를 제시하고 여기에 부합하는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 방향을 네 가지 성격을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into directions of content organiz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al grammar that is named into grammar structuralized with educational valuable elements in Korean Language. Directions of content organization of educational grammar have to agree with the goals of a grammar domain which is building by the character of educational grammar in Korean Language I set up four characters of educational grammar with relation to social functions of language and preservation of world culture diversity in this paper. First. it is character by basic knowledge for improving of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Second. objets for enhancing of inquiry ability about the phenomenons of Korean Language. Third. means for forming of a line of Korean people's thinking. Finally. instruments for producing of Korean Culture and cultural inheritance of Korean Language I presented goals of recognition and emotion that corresponded with four characters of Korean educational grammar and I suggested directions of content organization of educational grammar according to the goals.
목차
1. 머리말
2. 교육 문법의 개념
3. 교육 문법의 성격
4. 교육 문법의 내용 얼개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 분석
- 〈최척전〉의 문학지리학적 해석과 소설교육
- 향가 <찬기파랑가>, 윤선도 <오우가>, 박목월 <나그네>의 달의 의미 고찰
- 淸原郡 邑面 變遷과 이름 由來
- 국어 사용에서 언어 환경의 현황과 과제
- 추리서사를 활용한 논증적 글쓰기 교육방안 연구
- 청중을 고려한 발표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연구
- 국어교육에서 연계성의 개념과 양상
-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장 중심적 검토
- 공문서의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오류 양상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보 연결어미의 연구
- 내용 생성 단계에서의 사고력 함양을 위한 전략 개발 I
- 요약하기 전략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 메타 분석적 접근
- 국어 교육 문법의 내용 구성 방향 연구
- ‘정의문 형태’를 통한 능동적 글쓰기 방안
- 논설문 요약의 모습이 평가에 지니는 함의
- 식민지기 국어 교과서와 텍스트의 ‘의미 관계’ 검토
- 蛟山의 정신적 根源 考察
- 시민의식의 발전과 국어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 국어능력 신장을 위한 영역통합 수행평가 방안
- <洪將軍傳>의 형성과정과 작자의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