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교재 선호 특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16

영문명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Student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hen Choosing Teaching Material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안주호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82호, 279~30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0년대 이후 한국어 교재가 각 기관마다 출판되고 있는데, 주요 교수법이 무엇인가에 따라 교재의 집필의 양상이 다르다. 과거에는 청각구두식 교수법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요즘에는 의사소통적 접근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교수법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비언어적 구성의 내용이 다른 교수법에 비해 더욱 중요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한국어 교재 중에서 경희대학교 <한국어 1-6>시리즈를 사용하는 한 기관의 학습자를 통해, 교재에서의 언어적/시각적 자료의 선호 유형에 대해서 알아본 것이다. 학습자 성향에 대한 분석을 보면, 학습자들은 일반적으로 언어적 학습보다 시각적 학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교재의 내용 구성 설문에서 교재의 시각적 자료의 양, 텍스트의 양, 그리고 비율도 적절하며, 대화/설명 텍스트나, 그림/사진 등이 이해에 도움을 주며,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교재가 어떤 경우, 이해가 가장 빠른가에 대한 질문인데, 실제상황이 대화로 묘사된 텍스트와 그림이 함께 제시되었을 경우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다.

영문 초록

Since the 2000s a large number of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have been published by many institutions with various editorial patterns of major teaching methods. In the past, Audioiingual Method was the major teaching method, but lately communicative approach is more widely used. In order to improve the speaking skill in particular among many functions of language this teaching method has come to actively apply various learning media, instead of using studying tools simply to teach grammatical knowledge. This indicates that non-linguistical contents format is very important in teaching materials for KFL compared to other teaching methods. In this research, the pattern of preference on verbal vs visual materials was studied based on the data from students of an institute where the series published by Kyunghee University are used out of many different KFL teaching material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disposition of the learners, they seem to prefer visual learning in general than linguistic learning. Secondly, in the survey on the contents format of the learning materials, learners responded that the amount of visual materials and text, and the ratio between them are proper, while the conversation/explanation text and picture/photo help them to understand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learning. They also mention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xplanation or the contents of conversation text and the variety and contents of the pictures or photos used, which are helpful for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However, despite the general satisfaction, there were also some negative answers such as saying that pictures/photos were too unfamiliar or showed cultural difference, leading to misunderstanding. This should receive due consideration. The third question, a conclusive one, was to find out the cases when the learners have the maximum efficiency in understanding. Th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when the text describing actual situation is presented along with pictures. To this end, further studies should follow to well match the learners' disposition and the disposition of teachers and teaching materials based on empirical studies. This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목차

1. 머리말
2. 학습자별 유형과 한국어교재
3. 한국어 학습자의 선호 유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주호. (2009).한국어 학습자의 교재 선호 특성에 대한 연구. 새국어교육, (), 279-308

MLA

안주호. "한국어 학습자의 교재 선호 특성에 대한 연구." 새국어교육, (2009): 279-3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