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식성 교육의 성과와 과제
이용수 449
- 영문명
-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f Literacy Education for KFL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진 심상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35호, 165~19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식성 교육 현황 및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문식성 교육의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체계적 문헌 고찰의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진 문식성 연구에 관한 학술 논문 총 142편을 연구 분야, 연구 대상, 연구 방법, 교육 방안별로 분류 및 분석하고 관련 영역 핵심어를 제시하였다. 결과: 문식성 교육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결혼 이주 여성, 다문화 가정 자녀, 중도 입국 청소년 등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문식성 교육 연구는 문헌 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고 있으며 교실 수업에서 실제적 교육 내용과 교육 방안을 적용하고 있다. 결론: 이주 노동자나 외국인 직장인 등 문식성 연구 대상의 확대, 각 학습자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문식성 교육 내용의 구체화, 양적·질적 연구 방법론의 균형적 접근, 문식성 교육의 학제적 이론 정립과 교육 과정의 체계화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literacy education and research results in KFL educ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direction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future. Methods: In this study, a total of 142 academic papers on literacy research in KFL education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research field,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educational method by utilizing the method of ‘Systematic Review’, and key words in the related research area were presented. Results: Literacy education research was conducted on various learners, including Korean language learners, married immigrant wome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immigrant youth. In additio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unction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multicultural literacy, complex literacy, academic literacy, occupational literacy, basic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bilingual literacy. Literacy education research was also conducted using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and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related to literacy education were applied in the classroom.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subject of literacy research to migrant workers and foreign office workers beyond some learner group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contents of literacy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nd to take a balanced approach of research methodology.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n interdisciplinary theory of literacy education and to systematize the curriculum.
목차
1. 서론
2. 연구 대상 및 방법
3. 연구 결과
4.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중언어학회 제98호 목차
- 한국어 쓰기 평가에서 채점자 간 협의가 채점 특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모어 화자와 태국어 모어 화자의 거절 화행에 나타난 언어적 표현 비교 연구 - 초대에 대한 거절화행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