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이용수 17

영문명
Controversy of National and Popular Literature in 1980'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홍성식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78호, 465~48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론을 문학주체 논쟁을 중심으로 총체적으로 검토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탈민족 탈이념의 시대에 민족문학과 민중문학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유효한가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란이 수반되어야 하겠다. 하지만 이 논의는 비평적 담론 부재의 시대에 반성적 사유로써 작동하여 대안을 마련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것과 다양한 현실의 영역에서 사투하는 비판적 글쓰기의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90년대 접어들어 사회주의권의 몰락과 더불어 갑자기 종결되어버린 이후 의도적으로 방기되거나 유보된 민족·민중문학론에 대한 진지하고도 비판적인 점검은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 것이다. 이 글에서는 특히 70년대 후반부터 두드러진 현실적 변화 상황과 민족문학 주체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민족ㆍ민중문학론을 비판적으로 점검하였다. 한국사회의 성격 규정과 현실적 문학적 전망과 관련하여 주체의 문제가 핵심적 전제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체의 문제는 새로운 문학 질서의 구축과 관련하여 매우 의미 있는 문제 제기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 논쟁은 현실에 밀착되지 못한 이념 지향성과 당위론에 치우쳐 논리가 논리를 재생산해내는 자기진화에 매몰되어 버린 한계가 있다. 시대의 흐름에 편승해 편향된 당위론에 기대거나 기계적인 절충주의로 논의의 핵심을 비껴가는 한계가 노정되어 결국은 공소한 논쟁이 된 면이 없지 않다. 그럼에도 당시 지식인 중심의 민족문학과 전문문인 중심의 문학 주체에 심대한 자기 반성을 촉구하며, 민족문학의 다양한 변모 가능성을 확인하고 창작의 민주화를 획득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 이는 당시로서도 의미 있는 논의였지만, 현재의 시점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In this writing, I will study regarding the debates about the comments on the race, popular literature of 1980s. In the age of post-nationalism, post-ideology, the discussion about race and popular literature will accompany the significant adverse criticism about the validity of that discussion. But, this debates, in an era of the absence of the critical discourse, can be the base of the getting the alternate with the reconsideration, and it will find the meaning of the recovery of the critical writing which struggles in the variety of the area of reality. Entering 1990s, with the collapse and sudden end of the communism, I consider that the check of the race and popular literature that was intent to give up and dela! y is necessarily needed. I did study, with critic, the theory of the race, popular literature especially concentrating on the context of real change and the change of race literature that were distinguished from the late 1970s. According to the characterization of Korea's culture and a literal prospect, the problem of the subjectivity is operating on the essential premise. Specially, I considered that the problem of the subjectivity is the meanigful subject matter according to building new orders of the literature. This debates, however, have the limits of the aim at the ideology did not adhere to reality and necessity, with the logic reproduces logic itself and becomes self-extinguished. There are unnecessary debates caused by leaning on the biased a necessity jumping on the current of the times or the mechanical eclecticism. But it has great meaning that confirms the variety of the changeable possibility and gets the democratization of creative writing, urging the i! mmense self-reflection of the intellectual-centered race literature an d professional writer-centered literature subjectivity. It had been very meaningful debates at that time, it provides an important issue these days.

목차

1. 머리말
2. 1970년대 후반 민족문학론의 지형 변화
3.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의 쟁점
4.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성식. (2008).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새국어교육, (), 465-485

MLA

홍성식.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새국어교육, (2008): 465-4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