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과 현황
이용수 52
- 영문명
- A Korean Curriculum in operation and present condi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윤곤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8호, 271~29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동국대학교에서 시행 중인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과목과 학습자 설문 조사 결과를 살펴보았다. 학습자 설문 조사 결과 현재 시행 중인 교육과정의 미비점과 학습자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 과정은 유학생들에게 대학 수학 능력 개발과 한국의 대학 생활 적응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더 많은 대학에서 이와 같은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둘째, 대학에서 새로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용 과목 개설이 어렵다면, 기존에 개설한 교과목을 외국인 전용 강좌로 개설해서 운영한다면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 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의 성패는 교과목의 내실있는 운영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의 입학에서 졸업과 취업에 이르기까지 성공적인 유학생을 마칠 수 있도록 대학의 지속적인 관심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그리고 학습자 설문 조사를 통해 더 나은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에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international student Korean Curriculum operation subject and learner question findings that is enforcing in Dongguk University. Grasped unpreparedness point of curriculum and learner requirement that is enforcing learner question findings present. The result will accommodate electively before 2008 academic years Korean curriculum enforcement and supplement. International student Korean curriculum of study examined that give many helps scholastic aptitude development and Korean campus life adaptation to students studying abroad. From now on, is going to need development of such curriculum in more colleges. This study is international student Korean curriculum design and operation, expect that is utilized to basis data for development in better international student Korean training curriculum learner question investigation.
목차
1. 머리말
2.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3.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설문 조사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라 향가의 시적 성격
- 韓·中·日 冥府說話 比較 硏究
- 해외 귀국 학생들의 동일 기능 관계절 사용 실태 분석과 진단
- 내용교과 읽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 중심 읽기 모형에 관한 연구
- 한국어 內包文 용어 체계 재고
-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를 위한 언어사용 외적맥락 고찰
- 김영일 동시의 변모 양상 연구
- 국어과 강사 체험에 관한 국어교육적 의미 연구
-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 고찰
-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표준발음에 대한 실태 분석
- 국어 음운론에서의 ‘패러다임’의 성격에 대하여
-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 근대적 토론의 역사적 기원과 역할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영역 ‘함께하기’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
- 문학교사의 전문성과 문학수업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설정과 관련된 문제
- 한국어학과 중ㆍ한 ‘2+2’ 학제에 따른 성과와 문제점
- 학습자의 사고 계발을 위한 시 수업 모형 연구
-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과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