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강사 체험에 관한 국어교육적 의미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ut an lecturer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병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8호, 55~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국어과 강사의 경험에 참여하면서 겪은 체험이야기이다. 연구자는 국어과 강사 체험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탐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6년 1년 간으로 K대를 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수행의 자료로는 강의 계획서, 강의 녹화 자료, e-mail 자료, 참여 노트, 일지 등을 활용하였다.연구자는 강사 체험의 과정을 여행에 비견하였다. 강사 체험의 준비와 시작은 여행을 떠날 채비를 하는 것과 같다. 강사 체험은 주로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과정은 교학상장(국어교육학의 확장)의 모습을 띤다. 이 글은 체험 연구가 국어교육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래서 연구자의 결론은 무엇인가에 마침표를 찍는다는 의미보다는 새로운 연구를 다짐한다는 의미에 가깝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lecturer experience on the meaning of Korean language class. I use phenomenological experience inquiry method. Phenomenology is the study of life experence as we immediately experience it rather than as we conceptualize, categorize, or theorize about it. A lived time is 2006 in a year, and a lived space is K university. I checked timetable, vedio, e-mail, participation note, journal on research material.
A process of lecturer experience and a journey is colsely related. A class is various and complicated performance. I experience a new growth of education through Korean language class. I explore some meanings that to be referr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 try to appropriate it as our style(that is, experience study) with which we explore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1. 서론
2. 국어교육과 현상학적 체험
3. 국어과 강사 체험에 대한 성찰과 의미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라 향가의 시적 성격
- 韓·中·日 冥府說話 比較 硏究
- 해외 귀국 학생들의 동일 기능 관계절 사용 실태 분석과 진단
- 내용교과 읽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 중심 읽기 모형에 관한 연구
- 한국어 內包文 용어 체계 재고
-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를 위한 언어사용 외적맥락 고찰
- 김영일 동시의 변모 양상 연구
- 국어과 강사 체험에 관한 국어교육적 의미 연구
-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 고찰
-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표준발음에 대한 실태 분석
- 국어 음운론에서의 ‘패러다임’의 성격에 대하여
-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 근대적 토론의 역사적 기원과 역할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영역 ‘함께하기’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
- 문학교사의 전문성과 문학수업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설정과 관련된 문제
- 한국어학과 중ㆍ한 ‘2+2’ 학제에 따른 성과와 문제점
- 학습자의 사고 계발을 위한 시 수업 모형 연구
-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과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