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설정과 관련된 문제
이용수 9
- 영문명
- The considerations for the hierarchical curriculum desig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8호, 35~5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교육내용과 학습경험을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이 유의하다. 교육내용을 학습경험과 구분하면 실제로부터 추상화된 교육내용을 그 자체로서 다룰 수 있고 상하 관계의 설정도 가능하다. 교육내용의 위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내용을 분석하고 분절하는 과정이 불가피하다. 능력은 통째로 가르칠 수 없는 것이므로 그 능력의 어떤 요소를 어떤 단위로 나누어 교육할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이를 개정한 개정안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의 분석과 분절 양상을 살펴 보았다. 두 경우 모두 지식이나 태도의 측면에서는 조작적 위계를 취하고 있었으며 기능의 측면에서는 인지적 과정에 따른 하위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하나씩 독립적으로 분절하는 방식으로 위계를 설정하고 있었다. 교육내용의 위계를 설정하는 데는 하위 내용을 조절하는 문제도 관련된다. 국어과에서 교육내용의 위계 설정은 논리적으로 가지런하지 못하더라도 유연하고 상대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개정안 교육과정 모두 교육적 가치와 현실의 필요에 따라 위계의 차원 설정이 달라지고 내용의 범위가 축소, 통합, 확장되어 하위 내용화 되는 모습을 나타나 있었다.
영문 초록
Studies on the hierarchical curriculum desig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not been detailed. This study proposed several considerations with relation to the hierarchy of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language arts.
The first consideration is that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learning experiences is required to design to hierarchical curriculum in Korean language arts.
The second consideration is that it needs to the process of analysis and section to holistic content. It revealed that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have the manipulative hierarchy in educational content system.
The final consideration is that it is desirable to adjust content with accordance to not the subject's logic but the actual needs. It exposed that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have the flexible subcontents in content hierarchy.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라 향가의 시적 성격
- 韓·中·日 冥府說話 比較 硏究
- 해외 귀국 학생들의 동일 기능 관계절 사용 실태 분석과 진단
- 내용교과 읽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 중심 읽기 모형에 관한 연구
- 한국어 內包文 용어 체계 재고
-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를 위한 언어사용 외적맥락 고찰
- 김영일 동시의 변모 양상 연구
- 국어과 강사 체험에 관한 국어교육적 의미 연구
-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 고찰
-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표준발음에 대한 실태 분석
- 국어 음운론에서의 ‘패러다임’의 성격에 대하여
-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 근대적 토론의 역사적 기원과 역할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영역 ‘함께하기’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
- 문학교사의 전문성과 문학수업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설정과 관련된 문제
- 한국어학과 중ㆍ한 ‘2+2’ 학제에 따른 성과와 문제점
- 학습자의 사고 계발을 위한 시 수업 모형 연구
-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과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