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이용수 208
- 영문명
- Study o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Passive and Causative Expressions: Focus on Pedagogical Grammar in Korean Grammar Books and Textbooks and Errors of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해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8호, 295~3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까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다른 문법 범주에 비해 피동·사동 표현을 비교적 소홀하게 다루어 왔다. 따라서 다양한 교육방안의 검토도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어교육 문법서의 피동·사동에 대한 설명은 학교 문법의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으면서도 통일되어 있지 않고 모호하여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 또한 피동·사동 표현을 단순히 어휘로 제시하는데 그쳐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들이 피동·사동 표현을 실제로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피동·사동 표현 사용 양상에서 드러나는 많은 오류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문법의 개별 연구로서 피동·사동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논의하고자 했다. 먼저 한국어 문법서에서 피동·사동 표현을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살피고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설명 방식을 고찰하였다. 또한 학습자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그 유형을 정리해봄으로써 기존 한국어 피동·사동 교육방식의 문제를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피동·사동 교육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Study on passive and causative expressions and the teaching method has been unnoticed in Korean eduction as a foreign language.
Korean pedagogical grammars of passive and causative forms in Korean Grammar books for foreign learners are contrasted with similar school grammar for native speakers. Moreover, Korean pedagogical grammars in Korean grammar books have different contents each. And it causes learners confusion. Also, pedagogical grammar in Korean textbooks presents just vocabularies without rules of grammar.
Therefore, Korean learners could feel difficult to use passive and causative expressions practically. These difficulties of learners appear students' errors.
This thesis analyzes Korean pedagogical grammar in Korean grammar books and textbooks and researches on errors of Korean Learners. On the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presents affective teaching method.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육 문법의 개념
3. 한국어 문법서와 교재에 제시된 피동과 사동
4. 학습자 오류분석 및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라 향가의 시적 성격
- 韓·中·日 冥府說話 比較 硏究
- 해외 귀국 학생들의 동일 기능 관계절 사용 실태 분석과 진단
- 내용교과 읽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 중심 읽기 모형에 관한 연구
- 한국어 內包文 용어 체계 재고
-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를 위한 언어사용 외적맥락 고찰
- 김영일 동시의 변모 양상 연구
- 국어과 강사 체험에 관한 국어교육적 의미 연구
-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 고찰
-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표준발음에 대한 실태 분석
- 국어 음운론에서의 ‘패러다임’의 성격에 대하여
-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 근대적 토론의 역사적 기원과 역할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영역 ‘함께하기’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
- 문학교사의 전문성과 문학수업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설정과 관련된 문제
- 한국어학과 중ㆍ한 ‘2+2’ 학제에 따른 성과와 문제점
- 학습자의 사고 계발을 위한 시 수업 모형 연구
-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과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