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를 위한 언어사용 외적맥락 고찰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ternal context in using language for social interaction speech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란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8호, 99~1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에 등장한 사회적 상호작용 개념 규정을 말하기 영역과 관련지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문적 배경인 사회 구성주의 관점과 국어과에서 다루는 텍스트 유형의 층위에서 살피고자한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다루는 담화자료가 학습자의 언어 생활 영역을 반영되어 있는지 생활국어 담화 제재를 분석하고 8학년 학습자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언어사용 외적 맥락을 기술하고자 한다.상호작용 말하기의 개념 규정을 위한 조건으로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수행의 표본으로 삼하야 할 담화자료는 사회 언어학적 규범이 잘 드러나도록 언어 환경인 외적 맥락 범주 설정이 필요함을 언급했다.사회 언어학적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살펴본 생활국어 대화 자료를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담화상황 유형을 경험할 수 없다. 둘째, 대화 주체자의 역할관계에 의한 맥락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셋째,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따른 다양한 경험이 반영된 상황설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다섯째, 장소나 역할 인식에 의해 대화 사용자의 화체가 한정 되어 있다. 이에 8학년 학습자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실제 학습자 언어사용 맥락을 범주화하여 기술하였다. 이는 교과서 편찬하는 과정에서 말하기 영역 중 대화 담화 제재 선정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ishes to observe the meaning regarding text banishment that handle education contents and a text book that social interaction that is point terminology of society Constructivism is reflected in language course training courses.
And sanction analyzes to society philological component center in a life language text book whether learner's language life area is reflected and is purposeful to set foreign enemy veins category for sanction choice in conversation talk type with learner's question investigation as studying data that handle in a text book.
Life language conversation data that examine laying stress on society philological component could find analysis result following problem. First, It can not experience various talk situation banishment. Second, It is not offering veins by conversation Jucheja's role relation. Third, Situation establishment that various experience by learner's developmental stage is reflected is not presented. Fourth, conversation user's speech-level is limited by place or role awareness.
Described actuality learner language use veins because do tiger coinage to life area, role, topic with question investigation hereupon.
This expects to speak social interaction to give practical help at process that do English translation teaching material Tuesday.
목차
1. 들어가며
2. 층위에 따른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 개념 규정
3. 언어사용 외적맥락 고찰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라 향가의 시적 성격
- 韓·中·日 冥府說話 比較 硏究
- 해외 귀국 학생들의 동일 기능 관계절 사용 실태 분석과 진단
- 내용교과 읽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 중심 읽기 모형에 관한 연구
- 한국어 內包文 용어 체계 재고
-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를 위한 언어사용 외적맥락 고찰
- 김영일 동시의 변모 양상 연구
- 국어과 강사 체험에 관한 국어교육적 의미 연구
-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 고찰
-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표준발음에 대한 실태 분석
- 국어 음운론에서의 ‘패러다임’의 성격에 대하여
-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 근대적 토론의 역사적 기원과 역할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영역 ‘함께하기’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
- 문학교사의 전문성과 문학수업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설정과 관련된 문제
- 한국어학과 중ㆍ한 ‘2+2’ 학제에 따른 성과와 문제점
- 학습자의 사고 계발을 위한 시 수업 모형 연구
-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과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