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의 사고 계발을 위한 시 수업 모형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oetry Teaching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Learners’ Think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8호, 121~14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오늘의 시교육의 폐단이 학습자의 사고를 억압하는 획일화된 시 수업에 있다고 보고, ‘대면하기’에서 ‘수용하기’, ‘탐색하기’, ‘향유하기’로 나아가는 사고 중심의 시 수업 모형을 제시한다. 이 수업 모형은 사고를 문제해결과정으로 보는 입장에서 학습자가 작품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스스로 의문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질문을 찾고 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작품에 밀착하여 그 의미를 궁구하며 시의 가치를 체득한다. 사고 중심의 시 수업은 활동을 통해 지식을 생성하며, 학습자의 발산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권장한다.
영문 초록
Nowadays the poetry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is too much teacher-centered and knowledge-based. The teachers cram the learners’head with knowledge unilaterally, so the learners cannot have any chance to read and speculate about a work subjectively. This article considers the evil practices of present poetry teaching is resulted from standardized poetry classes that suppress the learners’ thinking ability, and suggests which includes the steps of ‘confronting’, ‘accepting’, ‘searching’, and ‘enjoying’.
This teaching model is based on the view that thinking is a problem-solving process and focuses on that learners read a work repetitively and find and solve questions about it on their own. In the process that they find and solve the questions, they can study the meanings of the poem and experience the value of the poem as well as they adhere themselves closely to the work. The poetry teaching based on thinking generates knowledge by the means of activities and encourages learners’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Moreover, it will improve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thinking as well that is required in appreciating literature through serious thinking process.
목차
1. 문제제기
2. 시 읽기와 사고
3. 사고 중심의 시 수업 모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라 향가의 시적 성격
- 韓·中·日 冥府說話 比較 硏究
- 해외 귀국 학생들의 동일 기능 관계절 사용 실태 분석과 진단
- 내용교과 읽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 중심 읽기 모형에 관한 연구
- 한국어 內包文 용어 체계 재고
-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를 위한 언어사용 외적맥락 고찰
- 김영일 동시의 변모 양상 연구
- 국어과 강사 체험에 관한 국어교육적 의미 연구
-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 고찰
-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표준발음에 대한 실태 분석
- 국어 음운론에서의 ‘패러다임’의 성격에 대하여
-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 근대적 토론의 역사적 기원과 역할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영역 ‘함께하기’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
- 문학교사의 전문성과 문학수업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설정과 관련된 문제
- 한국어학과 중ㆍ한 ‘2+2’ 학제에 따른 성과와 문제점
- 학습자의 사고 계발을 위한 시 수업 모형 연구
-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과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