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 음운론에서의 ‘패러다임’의 성격에 대하여
이용수 50
- 영문명
-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adigm’ in Korean phonolog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배영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8호, 319~3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패러다임’의 본래 의미와 국어 연구에서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 패러다임의 성격은 어떠한 것이고 패러다임의 유형은 어떤 형식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본 연구이다. ‘패러다임’은 본래 그리스 유추론자에 의해 형성된 개념으로 유추에서의 ‘모델’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또, 패러다임은 20세기 이후 소쉬르의 계열 관계에 의해 언어학에 널리 이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국어 음운론에서는 ‘하나의 어간형이 갖는 활용형의 집합’이라는 좁은 의미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다.서구의 패러다임을 국어에 그대로 적용하면 활용형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1차적인 분류로 모음어미, 매개모음어미 , 자음어미, 비음어미 등으로 환경을 한정하여 논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조건의 어미라도 세분해야만 한다. 특히, ‘ㄹ’말음 어간이나 ‘ㅎ’말음 어간의 활용 양상을 고찰할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국어의 패러다임 유형에는 불완전한 패러다임도 있다. 여기에는 소위 불완전동사, 자음어미만 가능한 동사, 자음어미와 일부 매개모음어미만 가능한 어형, 어휘화한 어형 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n actual definition of ‘paradigm’ and characteristics of paradigms that can be used appropriately in Korean language research. ‘Paradigm’ is a concept that was first introduced by Greek analogists. It is somewhat a model in analogy. Later, paradigms are widely used in linguistics after 20th century by the paradigmatic relation of F. de Saussure. On the contrary, in Korean phonology, it is usually used as a narrow definition of ‘a set of inflectional forms in a stem form’.
There may be numerous problems when Western paradigm is directly applied to Korean language. That is why it is effective to discuss the issue limited to vowel endings, epenthesis vowel endings, consonant endings and nasal endings as a primary categorization. Also, endings of same conditions must be fractioned under certain circumstances. Representative examples would be inflectional condition of l-final stem and h-final stem.
There are defective paradigms amongst the types of Korean paradigms. These include defective verbs, verbs without vowel endings and lexicalized verbs.
목차
1. 서언
2. 서구의 패러다임의 개념과 국어학에서의 적용 양상
3. 패러다임에 관한 그 외의 조건
4. 패러다임의 분포 유형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라 향가의 시적 성격
- 韓·中·日 冥府說話 比較 硏究
- 해외 귀국 학생들의 동일 기능 관계절 사용 실태 분석과 진단
- 내용교과 읽기의 문제 해결을 위한 개념 중심 읽기 모형에 관한 연구
- 한국어 內包文 용어 체계 재고
- 사회적 상호작용 말하기를 위한 언어사용 외적맥락 고찰
- 김영일 동시의 변모 양상 연구
- 국어과 강사 체험에 관한 국어교육적 의미 연구
-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시 고찰
- 충북지역 대학생들의 표준발음에 대한 실태 분석
- 국어 음운론에서의 ‘패러다임’의 성격에 대하여
- 한국어 피동ㆍ사동 표현의 효율적인 교육방안 연구
- 근대적 토론의 역사적 기원과 역할
-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쓰기 영역 ‘함께하기’ 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
- 문학교사의 전문성과 문학수업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 1980년대 민족·민중문학 논쟁 연구
- 국어과 교육내용의 위계 설정과 관련된 문제
- 한국어학과 중ㆍ한 ‘2+2’ 학제에 따른 성과와 문제점
- 학습자의 사고 계발을 위한 시 수업 모형 연구
- 유학생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과 현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