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과별 좋은 글의 기준 차이에 대한 분석
이용수 16
- 영문명
- Study on the Difference in Judging Good Writing for Each Subject: by focusing on 3 subjects : Korean, Social study and Scienc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조성만 이영진 권태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6호, 353~37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어․사회․과학 교과에서 바라보는 좋은 글의 기준 차이를 분석하여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범교과적 작문 지도를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국어․사회․과학 교사 총 31명을 대상으로 교과별 쓰기 활동과 쓰기 평가 기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별 쓰기 활동은 교과별 선호 텍스트 유형과 쓰기 과제 종류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 교과별 쓰기 평가 기준 차이에 대한 분석은 교과별 쓰기 평가 기준의 중요도 평정과 교과별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각 교과에서 생각하는 좋은 글의 기준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교과별로 선호하는 텍스트 유형은 국어 교과가 ‘정서 표현의 글’을 사회 교과가 ‘설명적인 글’과 ‘설득적인 글’을, 과학 교과가 ‘설명적인 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교과의 경우 쓰기 과제 종류는 ‘문학 감상문’이 주로 활용되는 반면 사회 교과는 ‘사회 현상과 개념에 관한 설명문’이 과학 교과는 ‘실험 보고서’가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쓰기 평가 기준 차이에서 국어 교과는 ‘주제의 명료성과 타당성’, ‘사고의 참신성과 창의성’을 중시하는 반면, 사회 교과는 ‘내용의 정확성’, ‘주제의 명료성과 타당성’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과학 교과의 경우에는 ‘내용의 정확성’과 ‘어휘 사용의 적절성’을 가장 중요한 쓰기 평가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었다. 교과별 쓰기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또한 교과별 쓰기 평가 기준의 중요 순위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설문과 면담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국어 교과의 경우 ‘내용이 창의적’이고 ‘감상이 잘 표현된 글’을 좋은 글의 대표적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었으며, 사회 교과의 경우에는 ‘논리적’이고 ‘내용이 정확한 글’을, 그리고 과학 교과의 경우에는 ‘내용이 정확한 글’을 좋은 글의 주요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각 교과별 좋은 글의 기준 차이는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작문 지도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up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eaching writing in each subject, by analyzing what is good composition in following 3 subjects: Korean, social study, and science. Korean teachers prefer the expressive writing - especially to express sentiment -. social study teachers go for descriptive writing and persuasive writing, while science teachers like better descriptive writing, when they are asked to choose one or two favorable text type(s). Th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are also distinct. Korean teachers use literary report the most, social study teachers utilize the descriptive writing for social phenomena and their concept, and science teachers prefer using experimental report. About the difference in evaluation criteria, “clarity and validity of the topic” and “originality and creativity of the main idea” for Korean, “exactness of the content” and “clarity and validity of the topic” for social study and “exactness of the content” and “adequacy of the terminology” for science are respectively emphasized. Results on perception of evaluation tend to overlap the ones on the importance of each standard in writing. After all the on-and-on talk analyses, the answers for the question “What is good writing?” are different : In Korean, writing with originality and well-expressed sentiment is the best; in social study, writing with logicality and accuracy is preferred ; at last, in case of science, writing with accuracy got high score. These difference between each standard will offer theoretical foundation which considers the features of each subject, suggesting effective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부 <탐라시>의 이본 고찰
-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의 다문화 소설 읽기
- 띄어쓰기의 실제
-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첨삭 피드백-고쳐쓰기 지도 모형
- 국어 교수 화법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
- 매체교육을 위한 동영상UCC 제작 전략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복합양식적 쓰기의 수용 가능성
- 도시와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관한 비교 분석
- 한말숙의 『아름다운 靈歌』에 나타난 타자윤리학
-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통한 교과서 평가 방안
- 김소진의 「처용단장」 연구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 제재로서 전래동화가 가지는 이점에 대하여
- 중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독서 지도에 대한 인식 양상
- 오우가에 나타난 윤선도의 자연관 재고
- 교과별 좋은 글의 기준 차이에 대한 분석
- 홍구범의 삶과 문학 연구
-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 재만조선인 심연수 시의 디아스포라 문학 특성 연구
- 교육과정 실행 평가로서의 국어과 수업 평가
- 지역 방언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