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 교수 화법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이용수 6
- 영문명
- Analytical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structional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재현 김호정 남가영 김은성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6호, 125~15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 화법의 유형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가 외적 형식과 기능을 살펴보는 데 집중하고 선언적인 방향 제시에 그쳤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실제 국어 수업 대화를 분석하여 현장 국어 수업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교수 화법의 바람직한 전형을 찾아 범주화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그 수업을 이끄는 교사의 화법과 어떻게 관련되어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살피는 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수 국어 수업 영상 17편(788분 분량)을 수집한 후 모두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대화를 분석할 때에는 교사가 의도했던 반응이 나올 때까지의 대화 연속체를 기본적인 분석 단위로 하여 I-R-E/F가 연쇄되는 대화 양상을 분석하였고, 특히 평가 및 피드백 발화에 초점을 두었다. 영상 자료 분석과 더불어 현장 교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된 교사 화법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반응을 유도해 낼 수 있는 질문이 제시되지 못하는 문제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교사의 평가/피드백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 대화를 교실 맥락 속에서 분석하여 ①교사의 평가/피드백 발화를 평가할 때에는 해당 발화가 포함된 IRE/F의 연쇄가 수업의 어느 단계에서 전개되고 있는지를 먼저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 ②닫힌 질문, 빈칸 메우기식 질문도 수업 대화를 효율적으로 이끌고 학습자의 사고를 순차적으로 유도하는 교육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 ③‘교사 개시 발화-학생의 반응-교사의 평가/피드백’ 발화로 구조화되는 수업 대화를 분석할 때에는, 교사-학생-교사 간에 주고받는 대화가 이른바 ‘집단 대화’의 형태를 취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주장하였다. 이와 더불어 심층 면담을 통해, 교사 화법 양상의 실제적인 기능과 의미를 함께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structional communication. 17 Korean language lessons captured on video as the selected cases of 'good teaching,' were carefully analyzed, and then three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 regarding the results. In the classroom discourse of I-R-E/F (Initiation-Response-Evaluation/Feedback) structure, speech of teachi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o lead interactive classroom convers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s a result, the problematic features that the question to induce the students' response was not presented revealed. In the analysis of Korean classroom data, We suggest that 1) When the speech of teacher is evaluated, the phase of the class should be considered first. 2) Closed questions, and filling in the blank questions are able to lead the classroom conversation effectively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thinking 3) When the speech structure of 'teacher start-student response-teacher evaluation/feedback' is analyzed, the dialogue would be the form of 'collective dialogue'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s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국어 교수 화법 분석 결과
Ⅴ. 현장 교사 심층 면담 결과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부 <탐라시>의 이본 고찰
-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의 다문화 소설 읽기
- 띄어쓰기의 실제
-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첨삭 피드백-고쳐쓰기 지도 모형
- 국어 교수 화법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
- 매체교육을 위한 동영상UCC 제작 전략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복합양식적 쓰기의 수용 가능성
- 도시와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관한 비교 분석
- 한말숙의 『아름다운 靈歌』에 나타난 타자윤리학
-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통한 교과서 평가 방안
- 김소진의 「처용단장」 연구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 제재로서 전래동화가 가지는 이점에 대하여
- 중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독서 지도에 대한 인식 양상
- 오우가에 나타난 윤선도의 자연관 재고
- 교과별 좋은 글의 기준 차이에 대한 분석
- 홍구범의 삶과 문학 연구
-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 재만조선인 심연수 시의 디아스포라 문학 특성 연구
- 교육과정 실행 평가로서의 국어과 수업 평가
- 지역 방언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