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첨삭 피드백-고쳐쓰기 지도 모형
이용수 19
- 영문명
- Teaching & Learning Model of Written Feedback-Revision for Improving Student's Ability to Writ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자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6호, 279~30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고쳐쓰기를 유도할 수 있는 단계별 첨삭피드백 통합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각 단계별 첨삭피드백의 구체적 방법으로 ‘SQ3R’ 방식을 변형한 ‘SQ2R’ 읽기 방법을 활용했다. 1단계 지도의 핵심은 학생필자의 자기 첨삭 피드백과 고쳐쓰기이다. 이를 위해 먼저 진행되는 공개첨삭은 교수의 시범과 학생 동료 구성원 간에서 친밀한 소통 속에서 첨삭 피드백을 익힐 수 있는 효율적인 지도방법이다. 공개첨삭 직후 자신의 글을 스스로 피드백함으로써 필자 내면에 숨어있는 독자의 눈을 일깨울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고쳐쓰기의 초점은 학생필자가 처음 의도했던 글과 실제 작성된 글 간의 불일치를 줄이는 작업에 있다. 2단계는 학생필자들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동료 첨삭 피드백 단계이다. 1단계에서 이루어진 수정본을 학생들과 돌려읽기를 하며 협력적으로 첨삭 피드백한다. 지도의 핵심은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중심성을 극복하고 예상 독자를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데 있다. 따라서 고쳐쓰기의 초점은 필자와 독자 사이의 일치를 목표로 한다. 3단계는 교수의 전문 첨삭 피드백 단계로 학생들이 글을 완성하기 전에 받는 최종 피드백이다. 1학년 대학생 필자는 아직 대학의 학문 담화공동체에 익숙지 않아 동료간 피드백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교수의 첨삭 피드백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고, 그것은 교수자가 지켜야 할 첨삭피드백의 원리와 방법에 준하는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가 제시한 모형은 학생필자 자신의 반성적인 고쳐쓰기 훈련을 유도하고 동료와 교수가 함께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단계적, 지속적 글쓰기 지도 방법이다.
영문 초록
Revision is one of the important activities that we must carry out at the process of writing. Written feedback plays a role as the actual motive that makes student's revision possible. In this study, I suggest a guidance plan for teaching-learning written feedback classified by each stage that leads to revision more actively and continuously. The guidance core in the first stage is the self-written feedback and revision of a student writer. Public sample written feedback is a method to open an audience's eyes hidden in writer's inside. The focus of revision is to reduce the discord between the text initially intended by student writer and the one written out actually. The second stage is the companion's written feedback mutually carried out among student writers. The guidance core in this stage is to offer a writer opportunities to overcome his(her) egocentricity under interaction with other companions and to realize audiences clearly. The third stage is a teacher's professional written feedback. This is the last and final stage through which an essay is perfected. The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is continuous writing guidance plan divided by stages in which the reflective revision-training of a student writer, companions and a teacher interact actively.
목차
Ⅰ. 머리말
Ⅱ. 첨삭 피드백과 고쳐쓰기
Ⅲ. 단계별 첨삭 피드백을 위한 SQ2R 읽기 방법
Ⅳ. 첨삭 피드백 - 고쳐쓰기 교수 학습 모형과 지도방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부 <탐라시>의 이본 고찰
-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의 다문화 소설 읽기
- 띄어쓰기의 실제
-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첨삭 피드백-고쳐쓰기 지도 모형
- 국어 교수 화법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
- 매체교육을 위한 동영상UCC 제작 전략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복합양식적 쓰기의 수용 가능성
- 도시와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관한 비교 분석
- 한말숙의 『아름다운 靈歌』에 나타난 타자윤리학
-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통한 교과서 평가 방안
- 김소진의 「처용단장」 연구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 제재로서 전래동화가 가지는 이점에 대하여
- 중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독서 지도에 대한 인식 양상
- 오우가에 나타난 윤선도의 자연관 재고
- 교과별 좋은 글의 기준 차이에 대한 분석
- 홍구범의 삶과 문학 연구
-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 재만조선인 심연수 시의 디아스포라 문학 특성 연구
- 교육과정 실행 평가로서의 국어과 수업 평가
- 지역 방언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