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방언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Regional Dialects: For Text-Focused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고희성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6호,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텍스트 중심의 통합 문법 교육을 위한 지역 방언의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언어 현상에 대해 분절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문법 단위를 이해하기 위한 분석의 단위로 작동하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통합 문법 교육이 실현될 때, 문법 교육의 효용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방언은 인공적으로 규정한 표준어와 달리 실제 학습자들의 삶 속에 녹아 있는 자연 언어이므로 텍스트 중심의 통합 문법 교육의 실현 양상을 보이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지역 방언을 바르게 알고 살려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제 언어 자료인 텍스트 속에 담긴 지역 방언의 언어적 특성, 정의적 특성, 사회․문화적 특성들이 함께 어우러진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7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지역 방언의 언어적 특성, 정의적 특성, 사회․문화적 특성들이 함께 어우러진 텍스트 중심의 통합 지역 방언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actical teaching․learning method of regional dialects for text-focused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The efficacy of grammar education can be secured when an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would be given focusing on the text, which operates as the analysis unit in the understanding of grammar unit, rather than approaching the language as a series of segments. Regional dialects a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language, which has been defined artificially. It is a natural language which is melt in the living of learners; therefore, dialects are proper language to realize the text-focused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n order to have learners learn the dialects correctly and use them in proper way,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e actual language texts,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language, definition, society and culture, is essentially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took the learners in the 7th grade as study subjects and suggested an integrated dialects teaching․learning method focusing on the text,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dialects.
목차
1. 서론
2. 지역 방언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3. 지역 방언의 교수․학습 방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최부 <탐라시>의 이본 고찰
-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의 다문화 소설 읽기
- 띄어쓰기의 실제
-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첨삭 피드백-고쳐쓰기 지도 모형
- 국어 교수 화법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 한국어 교육에서 양보 연결어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
- 매체교육을 위한 동영상UCC 제작 전략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복합양식적 쓰기의 수용 가능성
- 도시와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관한 비교 분석
- 한말숙의 『아름다운 靈歌』에 나타난 타자윤리학
-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점검을 통한 교과서 평가 방안
- 김소진의 「처용단장」 연구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한국어 교육 제재로서 전래동화가 가지는 이점에 대하여
- 중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독서 지도에 대한 인식 양상
- 오우가에 나타난 윤선도의 자연관 재고
- 교과별 좋은 글의 기준 차이에 대한 분석
- 홍구범의 삶과 문학 연구
- 교양과정 학생의 문법 선수학습 수준 분석
- 재만조선인 심연수 시의 디아스포라 문학 특성 연구
- 교육과정 실행 평가로서의 국어과 수업 평가
- 지역 방언의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