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Study on Scene Construction Education as an Idea for Writing of Narrativ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방은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3호, 423~45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 과정으로 장면 구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장면이란 시각을 중심으로 다양한 감각이 복합된 심적 영상을 의미한다. 장면 구성은 모종의 시공간과 인물, 사건들을 엮어 시각화된 심적 영상으로 의식 속에 그려내는 과정이다. 장면 구성을 서사 창작의 발상 과정에 도입하면, ‘쓸 거리’의 생성 및 정교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면 구성의 교육적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인지 과학적 논의를 토대로 상상력과 장면 구성 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그리고 전문 작가의 창작 과정을 담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장면 구성의 원리를 추출하였다. 장면 구성의 원리로는 ‘과거 경험의 영상적 재생’, ‘상이한 경험을 편집적 결합’, ‘인물의 내면 및 행위에 대한 도상적 사고 실험’ 등 이다. 이러한 원리를 토대로 장면 구성을 지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 방안으로는 ‘친숙한 경험의 활용’, ‘시각적 영상화에 필요한 자료 조사 실시’, ‘문학교실에서의 횡적·종적 대화’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서사 창작을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장면 구성의 교육적 가치는 ‘내용 생성 과정의 용이성 확보’, ‘발상의 정교화 및 구체화’, ‘서사 창작 방법의 이론적 심화’ 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d the scene construction as a idea process for narrative writing. A scene is a mental image centering on the visual. Scene construction is a process of drawing visualized mental image by interweaving time and space, characters, and events. The scene construction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and elaboration of content.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ination and scene construction was theoretically searched based on cognitive science discussion. And we extracted the principle of scene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text of the creation process of a professional artist. The principles of scene construction are ‘visual reproduction of past experience’, ‘editative combination of different experience’, ‘graphical thought experiment on inner and behavior of person’. And we proposed a teaching method to guide the scene construction. Educational options include ‘utilizing familiar experiences’, ‘conducting data research necessary for visual imagery’, and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alogue in literary classrooms’. Finally, I discusse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cene construction. Educational value of scene construction is ‘securing easiness of contents creation process’, ‘elaboration and refinement of idea’, and ‘theoretical deepening of narrative method’.
목차
1. 들어가며
2. 상상력과 장면구성의 관계
3.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 과정으로서 장면 구성의 원리
4.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과정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방안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Ⅶ
- 만해의 시 제재 및 학습활동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 최근 한·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