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이용수 19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pound Sentence Endings in Korean: Focused on Evidential Modalit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손유정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3호, 263~29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증거 양태 의미를 이해하고 이들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복합종결어미에 나타나는 한국어의 증거 양태의 의미들을 고찰하고 교육적 활용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살펴보면 복합종결어미의 다양한 의미, 양태 기능에 대해서는 간과하는 부분이 많아서 교육을 위한 연구의 선행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다고, -다니, -다면서, -다니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증거 양태의 정보 출처를 밝히기 위해 TV드라마 대본인 준구어 말뭉치 자료를 사용하여 담화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화자가 채택하는 증거의 의미로 [체험], [말전달], [상황전달], [일반상식] 등의 의미 범주가 나타났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각 어미에 나타나는 증거 의미의 정보를 제공하면서 교육한다면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help the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the evidential modality of Korean, increase their communications and study the meanings of evidential modality of Korean from the compound sentence endings for the educational application. In this study, the “-dago, -dani, -damyeongseo, and -danikka” were targeted for the study. For the disclosure of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the evidential modality, the TV drama script or the semi-spoken language data was used for the discourse analysis. The corpora materials used in the analysis of discourse includs approximately 1,306,657 phrases from the scripts of TV drama episodes.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he evidence adopted by the speaker includes the ‘experience firsthand’, ‘speaking reported’, ‘situation reported’, and ‘general knowledge’. If the information on the evidential meaning shown in each ending is provided in the Korean education courses, that would be a good and effective educ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목차
1. 서론
2. 증거성과 증거 양태
3. 복합종결어미에 나타나는 증거 양태 의미
4. 교육적 활용 모색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Ⅶ
- 만해의 시 제재 및 학습활동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 최근 한·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