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8
- 영문명
-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지문건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13호, 143~16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음운현상을 고려한 단어인지 능력 측정과 한국어 읽기학습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수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변수들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외국인 86명 대상으로 한국어 읽기와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경음화 등 4가지 영역의 단어인지를 측정하였다. 한국어 단어인지 능력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4개의 단어인지 영역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한국어 읽기의 영향력을 조명하고자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한국어 읽기능력에 영향을 주는 직·간접적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비음화, 구개음화, 경음화를 간접적 외생변수로, 유음화를 직접적 내생변수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가지의 음운현상을 고려한 단어인지 능력은 비음화 단어인지 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음화 음운 현상이 한국어 읽기 향상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로 입증되었다. 셋째, 유음화 음운현상은 한국어 읽기 능력에 직접적 원인 변수로, 비음화, 구개음화, 경음화 음운현상은 한국어 읽기 능력에 간접적 원인 변수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단어인지는 읽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읽기모형(Simple View of Reading)을 재검증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1) which phonological variation is different in Korean word recognition, (2) which components is a strong predictor for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and (3)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ariable having a possible impact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and word recognition were used respectively. The tasks of word recognition consisted of nasalization, palatalization, liquidization, and reinforcement. Data sources were from 86 foreigners. The Paired-sample T-test showed that nasalization is the highest score among four types of phonological rules.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liquidization is a strong predictor for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SEM identified that liquidiz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for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simple view of reading that word recognition contributes a significant amount of unique variance for reading comprehens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종결어미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Ⅶ
- 만해의 시 제재 및 학습활동에 관한 비판적 검토
- 작품의 생산 맥락을 고려한 신경림 시 읽기의 교육적 가치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세 문장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사용 전략 연구
- 서사 창작을 위한 발상으로서 장면 구성 교육 연구
- 지능 정보화 시대와 국어 교육
- 최근 한·일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형용사 교육 연구
- 한국어 읽기능력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 문법 교과서의 학습 활동 유형 변화 양상 분석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